알라딘 전자책

검색

사회복지행정론

박영스토리

김영철, 이계원, 이수진, 이정례, 장재원, 조영순 (지은이)

2023-09-05

대출가능 (보유:3, 대출:0)

책소개
저자소개
목차
학문의 일천함에도 사회복지학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사회복지행정은 말 그대로 사회복지와 행정이 합쳐진 것이리라. 한국사회는 사회복지의 진전이 어느 선진복지국가 못지않아 이제는 사회복지행정이 본격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사회복지행정은 사회복지가 어느 정도 발전되어야 익숙해지는 용어이다. 더구나 그 학문적 수준은 타 사회복지 분야의 마중물이 되는 학문이다. 사회복지학이 그렇듯이 사회복지행정 역시 이론과 실제를 겸하고 있다. 특히, 현장 적용이 이론과 다른 경우에는 곧 부작용이 되어 수급자에게 돌아오기 때문이다.
사회복지행정에 있어서 전달체계는 이론과 실제에 있어서 중심에 해당한다. 사실 사회복지는 전달체계의 완성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회복지가 발달하지 않았던 시기에는 사회복지행정이 중요하지 않았지만, 사회복지가 발달한 이후에는 사회복지행정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선진복지국가로 발돋움하기 어렵다.
사회복지행정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공하느냐에 성패가 달려 있다. 그 이유는 사회복지의 환경이 수시로 변화하기 때문에 사회복지 대상자들의 새로운 욕구를 만족시켜 주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사회복지조직에서의 행정은 새로운 관리지식과 기법을 도입하여 사회복지서비스에서 요구하는 효과성, 효율성, 책임성 등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이 책은 변화하는 사회복지환경에 유효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이론과 실제를 적절히 접목시켜 학습자들로 하여금 학문적 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신 이론을 보다 많이 소개하고 있다.
둘째, 내용전개에 있어서 학습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셋째, 참고문헌과 각주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다.

사회복지행정의 학습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과 조직 간의 원활한 소통
둘째, 행정의 효과에 대한 토의
셋째, 이론의 현장 접목

‘사회복지행정론’은 필수과목이어서 공동저자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과목이다. 이 책으로 공부하는 학습자들이 존재하기에 조금이라도 더 많은 지식을 공유하고자 노력했음을 밝히고자 한다. 학습자 여러분들의 따뜻한 질책과 충고를 감히 기대한다. 앞으로 우리 공동저자들은 더 좋은 내용으로 찾아뵐 것을 약속드린다. 끝으로 이 책의 출판을 위해 수고하신 피와이메이트 대표님과 관계자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2023년 8월
대표저자 김영철 박사

공지사항

등록된 공지사항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