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전자책

검색

지역사회복지론 - 이론.현장.사례, 2판

도서출판 신정

김흥주 (지은이)

2023-01-01

대출가능 (보유:3, 대출:0)

책소개
저자소개
목차
한국 사회복지의 최근 추세는 복지체제의 지역화와 복지주체의 다원화, 그리고 복지대상의 국제화로 요약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핵심은 지역사회를 단위로 공공과 민간, 그리고 시장이 어우러져 하나의 복지구조를 이루는 지역사회 중심의 복지체제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복지는 주민의 참여로 시작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살아있는 일상정치로 완성된다.
이 책은 진정한 지역사회복지의 미래를 구상하기 위해 이론, 현장, 사례를 중심으로 총 4부 14장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1부 지역사회복지의 이론적 기초는 지역사회복지 개념, 역사, 주요 이론을 검토하는 내용으로 채워졌다. 2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이론과 방법은 지역사회를 변화시키는 실천모델과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논의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3부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는 지방자치제도와 공공복지, 민간복지 전달체계의 현황과 문제를 설명하였다. 4부 지역사회복지의 실천현장은 주민참여와 파트너십, 거버넌스, 사회적경제와 같은 실천의 가치들, 그리고 이를 매개로 지역사회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다양한 주민운동을 소개하였다.
무엇보다도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어떻게 하면 한국적 현실에서 주민들의 조직화된 힘으로 지역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을까?”를 고민하여 그 대안을 제시하려 하였다.
이 책의 가장 큰 의미는 기존의 교과서와 차별화된 집필 방식에서 찾을 수 있다. 첫째, 최신의 통계자료와 보고서, 매체자료 분석을 통해 정책과 제도, 법의 변화 추이와 최근 현황을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 둘째, 사실을 단순하게 나열하려 하지 않고 최대한 분석하고, 해석하려 하였다. 그래서 각각의 주제를 논의한 뒤, 마지막에는 꼭 문제점을 찾아보고 실천과제를 제시하였다. 셋째, 사회복지사 1급 자격증 시험에 충분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목차 구성이나 내용 배열에 최대한 신경을 썼다. 2022년까지 총 19회에 걸쳐 치러진 시험문제를 면밀히 검토하여 관련 내용을 반영했으며, 향후 복지환경이나 제도의 변화에 따라 출제가능성이 높은 부분은 따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공지사항

등록된 공지사항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