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신공중보건 - 건강사회를 향한 도전 (커버이미지)
우리전자책
신공중보건 - 건강사회를 향한 도전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배상수 
  • 출판사계축문화사 
  • 출판일2018-05-31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고대 도시의 위생관리, 중세 시대의 방역, 산업혁명 시대의 위생개혁 등을 통해 공중보건은 공동체의 집단적 건강관리 방법을 혁신함으로써 인류의 건강과 웰빙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의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공중보건 역시 인구집단보다는 개인 수준에서의 건강관리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다. 하지만 현재 인류를 위협하고있는 만성질환, 감염병, 자살, 정신질환, 사고 등의 관리는 개인 수준의 건강관리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일찍이 George Rosen은 “인류가 직면했던 건강과 관련된 주요 문제는 공동체 생활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질병은 공동체 생활을 통해 발생하고, 질병에 대한 대응은 사회의 조직적 노력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건강은 우리가 태어나고, 성장하며, 배우고, 일하며, 즐기는 일상생활의 터(setting) 속에서 만들어진다. 인류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건강문제의 해결은 사회가 모든 구성원들이 건강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때 가능하다.

저자소개

1983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의학사)

1985년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졸업(보건학석사)

1990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졸업(보건학박사)

일본 국제협력지원단(JICA) 초청으로 오카야마대학과 후생성 산하 공중위생원에서 지역보건 연수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주임교수.사회의학연구소장.보건대학원장 역임

대한보건협회,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대한예방의학회, 한국보건행정학회 임원으로 활동 중.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 한국건강증진재단 이사, 서울특별시 건강생활실천협의회 위원장 및 건강증진사업지원단 단장, 보건복지부 건강증진전문인력교육 대표교수 등을 역임.

목차

서론 건강관리를 위한 사회적 시각의 필요성
제1장 건강관리의 모형
제2장 건강의 개념
제3장 건강문제의 발생과 결정요인
제4장 사회생태학과 공중보건
제5장 공중보건의 변천과 신공증보건의 대두
제6장 신공중보건 시대의 공중보건의 정의와 기능
제7장 신공중보건 체계
제8장 인구집단의 건강관리와 건강문제 확인
제9장 지역사회 개발과 역량강화
제10장 건강문해력
제11장 삶의 터 접근
제12장 모든 정책에서 건강을 고려
제13장 건강 형평성
제14장 공중보건 위기관리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