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전자책

검색
다다상조 회사 - 청년 탐정들의 장례지도사 생활 속으로 (커버이미지)
알라딘

다다상조 회사 - 청년 탐정들의 장례지도사 생활 속으로

책과나무

김재희 지음

2023-12-04

대출가능 (보유:1, 대출:0)

책소개
저자소개
목차
<b>『다다상조 회사』가 그려낸 삶의 마지막 축제, 장례
고인과 상주의 사연을 풀어내는 청년 장례지도사들의 활약

부고장을 띄웁니다.

영업부 3팀 홍길동 직원의 모친 ○○○님이 모월, 모일에 돌아가셨기에 삼가 안내드립니다.
빈소 : ○○대학병원 장례식장 201호
장지 : ○○추모공원
연락처 : 장남 홍길동 010-0000-0000
코로나로 인해 방문 조문은 자제해 주시기를 정중히 부탁드립니다.
계좌 : 농협 000-0000-0000-000

당신은 상주가 된 경험이 있습니까? 당신의 죽음 뒤에 누가 부고장을 띄울지 생각해 보셨습니까? 부고장을 받고 장례식장에 다녀온 경험이 있습니까? 무연고 장례식에 대해 알고 계십니까?
상주 없는 장례식이 가능한지, 자식이 없다면 누가 상주를 하는 순번인지, 상주로서 해야 할 일은 무엇인지,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가장 먼저 누구에게, 어디로 연락을 하는지, 어느 장례식장에 예약해야 하는지 아십니까?
이 작품은 그 의문에 대한 해답을 주고자 합니다.
<b>
청년 장례지도사의 일상과 현대 장례 의식 들여다보기

30대 젊은 장례지도사 한현명, 장례상담사 오슬기, 검안의 노배인은 다다상조 장례지도 과정에서 만나게 되는 고인과 상주의 이야기 들어주며 맞춤 장례식을 치르게 된다. 전통 장례와 현대 장례의 대립, 삶과 죽음에 대한 회의, 대를 이은 갈등 등 소설 속 인물들은 젊은이로서 고민과 장례지도사로서 내적 충돌을 겪게 된다. 소설은 검안과정, 수시과정, 염습과정, 발인, 탈상의 장례 과정을 소개하며 그와 함께 엮어낸 고인과 상주의 이야기에서 인생의 참된 의미를 묻는다.

예전에는 장의사 즉 염습하는 이와 호상(護喪) 즉 고인을 잘 알고 상례 절차를 아는 이로 분리되어 있었지만, 현대의 장례지도사는 장례지도 교육을 정식으로 이수하고 자격증을 부여받는다. 장례의 절차를 주관하고 장의사와 호상을 모두 합쳤다. 사망 진단, 수시(고인의 몸인 시신을 바르게 하는 절차), 빈소 차리기, 부고장 보내기, 염습(시신을 목욕시키고 수의 입히는 것), 입관식, 성복제, 발인과 봉안하기 절차까지 이 모든 일을 장례지도사가 앞장서 지도한다.
현대의 장례는 검안의, 장례지도사, 장례상담사 그리고 염습과 수시를 도와주는 염습사, 장의사 등 여러 방면의 전문가들을 만나 치르는 의식이다.
<b>
작가가 겪은 아름다운 장례 문화, 소설에 녹여

조선 시대에는 장례에 꽃상여를 메고 가면서 화려하게 만장을 휘날리고, 묘를 다지면서 춤도 추고, 놀이꾼들이 속된 노래도 하면서 장례를 경축했다. 집안의 큰 어른이 가고, 새 가장이 생기는 걸 진심으로 축하하는 의미였기 때문이다.

작가는 상주, 상제로서 세 번의 장례 과정을 겪으면서 그 안에 무척 많은 의미가 담겨 있다는 것을 알았다. 장례식은 가족들에게 새로운 시작이고 한 인물을 존엄하게 보내드리는 과정인 것은 물론 상주를 찾아오는 손님들과 함께 고인의 이야기를 나누면서 겪는 행사이기도 하다. 고인의 아쉬운 점, 서운한 점, 그리고 인상적인 일화를 시작으로, 장지로 가는 버스에서는 고인에게 고마운 점, 아름다운 점, 그리고 자잘한 일화들이 많이 나온다. 상주들은 손님들과 업계 돌아가는 이야기도 하고, 각자의 사정도 토로하고 아울러 혼담도 오가는 신나는 잔치의 연장선이 되기도 한다. 몸이 불편해도 입관식에 참석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저 위에서 만나자, 약속하는 분도 있다.
고인의 마지막을 잘 모시고 나서야 맘이 편안해진 상주와 손님들은 다시 장례식장으로 돌아와서는 탈상을 하고 저마다의 길로 걸어가게 된다.

작가는 이러한 장례 과정의 아름다움을 알리고자 이 소설을 기획했다. 잘 알려지지 않은 우리의 장례 문화가 수준이 높고 체계적으로 치러지고 있다는 사실과 일상으로 다가온 죽음의 마지막 예식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 주고자 소설로 그렸다.

공지사항

등록된 공지사항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