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전자책

검색
기본 이미지.
북레일

[민담학개론] 언어경합담言語競合談의 구조 : 『민담학개론』(1982년, 213~230쪽)

일조각

김열규

2013-05-31

대출가능 (보유:1, 대출:0)

책소개
저자소개
목차
창조적 예술과 민속예술을 대비시킬 때, 전자가 보다 더 자의식적이고 보다 더 양식화 되어 있다고 일단은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양자 사이의 차이는 '보다 더'란 말이 암시하듯이 걸코 양적인 것이 아니다. 거기에는 분명한 질적인 차가 있다.

민속예술의 양식은 '생활의 양식'과 연속성을 지니고 있다. 생활의 양식 자체가 민속예술의 잠재적이고도 미완의 양식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민속예술의 연행은 생활의 양식에 잠재된 것을 조작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민속예술이 생활의 양식에 대하여 갖고 있는 연속성으로 말미암아 그 연행은 '쌍방적'이라는 특색을 지니고 양식화된다. 연행자와 구경꾼 사이에 쌍무적 연행역할이 주어진다는 뜻이다. 연행자와 구경꾼 사이의 심리적 거리를 만들고 그것을 조작함으로써 연행자와 구경꾼 사이의 일방적 교신만이 부각되는 창작예술의 양식과는 다르다.



- 『言語競合談의 구조』의 'Ⅰ. 수수께끼의 언어적 징표' 에서 -

공지사항

등록된 공지사항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