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한국 소설의 분단 이야기 (커버이미지)
알라딘
한국 소설의 분단 이야기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유임하 (지은이) 
  • 출판사책세상 
  • 출판일2006-08-15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저자소개

1962년 경북 의성 출생.
동국대학교 국문학과, 동 대학원 국문학과 졸업. 문학박사.
현재 한국체육대학교 교양과정부 교수

대표 저서
『이태준전집』(전7권, 공편, 소명출판, 2015)
『북한의 우리 문학사 인식』(공저, 소명출판, 2014)
『근대 국어 교과서를 읽는다』(공저, 도서출판 경진, 2014) *문화관광부 학술우수도서
『북한시학의 형성과 사회주의문학』(공저, 소명출판, 2013)
『조정래: 민족의 삶과 역사적 진실』(편저, 글누림, 2010) *문화관광부 우수문학도서
『북한의 문화정전, 총서 ‘불멸의 력사’를 읽는다』(공저, 소명출판, 2009)
『새민족문학사강좌』(공저, 창비, 2009)
『북한문학의 지형도』(공저, 이대출판부, 2008)
『반공주의와 한국문학의 근대적 동학』(전2권, 공저, 한울아카데미, 2008-2009)
『한국소설과 분단이야기』(책세상, 2006)
『한국문학과 불교문화』(역락, 2005) *문화예술위원회 문학우수도서
『기억의 심연』(이회, 2002) *문화관광부 문학우수도서
『분단현실과 서사적 상상력』(태학사, 1998) 외 다수.

대표 논문
「북한의 문화정전을 어떻게 읽고 수용할 것인가」(2019)
「정기종의 『운명』과 김정은 시대의 국가서사」(2019)
「1955년 북한사회의 베트남 방문과 베트남이라는 심상지리의 탈식민적 구성」(2018)
「월북 이후 이태준 문학의 장소감각」(2015)
「‘전승 60주년’과 북한문학의 표정」(2013)
「월북 이후 이태준 문학과 48년질서」(2013)
「총서 ‘불멸의 력사’의 기획 의도와 독법」(2009)
외 평론 다수.

목차

책을 쓰게 된 동기

들어가는 말



제1장 한국 소설과 분단 이야기

1. 분단 문제의 현재성

2. '분단'의 말뜻과 '분단 이야기'의 특성

3. 분단 이야기의 생산 주체와 소설적 성과



제2장 반공 규율 사회와 소설의 응전

1. 반공주의의 등장과 규율 장치의 성립

2. 반공주의와 민족 표상화 작업 - <절망>과 <남행록>

3. 반공과 순수 - <형제>

4. 6.25전쟁 발발과 전쟁 기억의 형성 - <고난의 90일>과 <적화삼삭구인집>

5. 분단 체계의 검열 장치

6. 공포증과 작가의 자기 검열 - 이청준의 경우



제3장 역사와 기억의 서사적 경합 - 탈냉전 시대와 분단 이야기의 행로

1. 탈냉전과 기억의 부상

2. 역사의 망령과 비극의 카니발화 - <손님>

3. 여성의 전쟁 기억과 글쓰기

4. 망각의 현실과 기억의 윤리 - <푸른 혼>과 <백년여관>

5. 대중문화의 분단 이야기 향유



보론 - 북한 문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맺는 말



더 읽어야 할 자료들

부록 - 분단 이야기 목록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