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토마스 만의『마법의 산』읽기 (커버이미지)
알라딘
토마스 만의『마법의 산』읽기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윤순식 (지은이) 
  • 출판사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출판일2020-09-21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전설적 스토리텔러 토마스 만은 1939년 프린스턴대학교의 학생들에게 『마법의 산』을 소개하는 자리에서 “작가 자신이 작품의 최고 전문가이고 해설가라고 생각하는 것은 착오이다”라고 말하면서도, 이 작품이 『페르스발』과 『빌헬름 마이스터』의 연장선상에 놓일 수 있는 교양소설임을 시사했으며, 또한 주인공 한스 카스토르프가 그의 두 인도자인 세템브리니와 나프타를 통해 삶에 입문한다는 점에서 성년입문소설이라고도 언급한다.

물론 이 작품은 ‘한 단순한 청년’이 요양원이라는 마적 폐쇄공간에서 쇼펜하우어적 ‘정지된 현재’, 즉 죽음의 경험을 겪는다는 점에서 시간소설일 수도 있고, 한편으로 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작가 자신의 정치적 개안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대소설이기도 하다. 이처럼 『마법의 산』은 그 해석의 관점에 따라 다의성을 지님으로써 토마스 만의 서사정신이라고 할 ‘아이러니’를 내재하고 있는 20세기 독일 문학의 대표작이다.

삶과 죽음의 갈등을 휴머니즘으로 승화시킨
20세기 최고의 아이러니스트


토마스 만은 독일 휴머니즘의 부활을 추구하여 20세기 문학에 큰 획을 그은 비판적 리얼리스트로서, 동시대 사회의 위대한 교사이자 시민적 작가였다. 1929년 『부덴브로크가의 사람들』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그는 『마법의 산』이 없었다면 노벨 문학상을 받지 못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만큼 『마법의 산』은 그의 작가적 도정에서 하나의 큰 전환점을 이루는 작품으로, 집필기간만 11년에 이를 정도의 방대한 장편소설이다.

세기말의 암울한 데카당스적 분위기에서 청년기를 보낸 그는 초기 작품에서 예외 없이 삶과 죽음, ‘시민성’과 ‘예술성’의 갈등이라는 예술적 자아의 문제를 다룬다. 이후 정치적 입장의 차이로 그의 형 하인리히 만과 이른바 ‘형제논쟁’을 벌이고, 이러한 입장도 상당한 변화를 겪은 후인 1924년에 이 작품을 출간한다. 그래서 『마법의 산』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가 토마스 만의 의도를 잘 파악해야 한다.

토마스 만의 서사적 아이러니와 『마법의 산』

『마법의 산』에 대해서는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있지만, 대체로 ‘교양소설’, ‘시대소설’, ‘시간소설’, ‘성년입문소설’의 네 가지로 보는 입장이 정설이 되어 있다. 이 책은 각각의 입장에서 『마법의 산』을 분석하고, 또 작품에 내재된 토마스 만 아이러니의 여러 양상들을 살펴 작품 이해에 도움을 준다. 작품론과 별개로 작가론에서는 당시 시대적 배경과 토마스 만의 서사정신, 작품세계를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소설과 토마스 만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또 하나 제공한다.

토마스 만의 작품들은 간결한 문장보다는 주로 만연체로 쓰여 있으며 내용 또한 언제나 이중적 의미를 띠기 때문에 이해하기 까다로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마법의 산』으로 대표되는 그의 작품 속에는 언제나 ‘인생의 의미에 대한 심오한 인식’이 깔려 있다. 우리를 둘러싼 세계와 인생의 총체성이 제시되어 있는 것이다. 『마법의 산』과 토마스 만을 쉽고 체계적으로 소개한 이 책을 통해 오늘날 토마스 만 문학이 세계문학으로 불리는 이유를 알게 되기를 바란다.

※ 세창명저산책 시리즈
현대 지성과 사상을 형성한 세계의 명저를 우리 지식인들의 손으로 풀어 쓴 해설서입니다.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독일 헤센 마르부르크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박사 후 연수과정으로 베를린 훔볼트대학교에서 현대독문학을 연구했다. 공군사관학교 독일어 전임교수, 한양대학교 연구교수, 덕성여자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경찰대학 외래교수를 역임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오랫동안 강의했다. 현재 홍익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토마스만학회 회장이다.
저서로는 『아이러니』, 『토마스 만』, 『전설의 스토리텔러 토마스 만』(공저), 『토마스 만의 생각을 읽자』, 『헤르만 헤세의 생각을 읽자』, 『프란츠 카프카의 생각을 읽자』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마의 산』, 『사기꾼 펠릭스 크룰의 고백』(제18회 한독문학번역상 수상), 『베네치아에서의 죽음』, 『토니오 크뢰거』, 『교양』(공역), 『정신병리학 총론』(1-4, 공역), 『역사의 지배자』, 『작약등(芍藥燈)』, 『아이 사랑도 기술이다』, 『변신』, 『괴테, 토마스 만, 니체의 명언들』, 『로스할데』,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독일전설』(1-2, 공역) 등이 있다. 논문으로 「문학과 정치」, 「문학과 음악」 등 30여 편이 있다.

목차

머리말 · 4



제1장 작품론 ― 『마법의 산』

1. 『마법의 산』의 핵심내용 · 11

1) 『마법의 산』의 사회적 배경 · 11

2) 『마법의 산』의 의의 · 13

3) 『마법의 산』의 구성과 등장인물 · 16

4) 『마법의 산』의 줄거리 · 19

2. 『마법의 산』의 특징 ― 아이러니 · 28

1) 교양소설의 전통과 『마법의 산』 · 31

2) 시대소설로서의 『마법의 산』 · 35

3) 시간소설로서의 『마법의 산』 · 40

4) 성년입문소설로서의 『마법의 산』 · 43

3. 『마법의 산』 주인공의 교양화 과정 · 49

1) 세템브리니와 나프타 · 50

2) 쇼샤와 페페르코른 · 57

3) 세템브리니와 쇼샤 · 67

4) 죽음의 극복과 아이러니 · 71



제2장 작가론 ― 토마스 만과 작품세계

1. 시대적 배경 · 79

2. 토마스 만의 서사정신 · 85

1) 태생적 이원성 · 85

2) 정신의 3연성 · 89

3) 토마스 만의 서사적 아이러니 · 103

3. 토마스 만의 작품세계 · 114

1) 1893-1914년: 예술성과 시민성의 갈등 · 115

2) 1915-1925년: 위기와 새로운 출발 ― 조화 모색과 생의 긍정 · 123

3) 1926-1943년: 인간성의 이념 · 124

4) 1944-1950년: 파우스트 시대 · 131

5) 1951-1955년: 에로틱과 예술의 사회적 의무 · 134



토마스 만 연표 · 141

참고문헌 · 149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