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유배인의 섬 생활 (커버이미지)
알라딘
유배인의 섬 생활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최성환 (지은이) 
  • 출판사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출판일2020-04-24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유배인은 섬에서 어떻게 살았을까?
아무리 신분이 높고 부유한 사람이라 하더라도 섬에 들어온 이상, 섬 주민들의 도움을 받지 않고는 살아가기 쉽지 않았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섬 주민들과의 문화교류가 이루어졌고, 유배인들은 섬에서 경험한 일을 잊지 않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기록을 남겼다. 이 책은 그러한 기록을 토대로 유배인의 섬 생활 모습과 그 안에 담긴 소통의 문화상을 조명한 것이다.

유배문화에 대한 재인식
그동안 ‘유배문화’ 하면 외부에서 온 똑똑한 선비가 미개한 섬 주민들을 깨우쳐 준다는 시각이 지배적이었지만, 인간관계에는 언제나 상호작용이 존재한다. 유배인들은 ‘섬’이라는 자연환경과 섬사람들의 생활상을 통해 새로운 깨달음을 얻기도 했다. 반면, 섬 주민들은 외부에서 온 유배인과의 교류를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외부세계와의 연결고리로 삼기 위해 노력하기도 한다. 그 안에는 그동안 우리가 몰랐던 섬 고유의 지적 전통과 사회상이 담겨 있다.

섬, 스토리텔링의 보물창고
섬은 독특한 인문환경을 지닌 문화다양성의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스토리텔링의 보고이다. 과거 소외와 고립의 이미지로 치부되던 섬의 유배문화가 이제는 한국의 해양문화를 상징하는 고유한 문화자산으로 재탄생되고 있으며, 문화산업 시대에 꼭 필요한 이야기 자원이 되고 있다. 이 책에는 유배 시절 섬 여행기를 남긴 ‘김약행’, 섬 주민들과 벗이 되어 물고기 백과사전을 만든 ‘정약전’, 예술혼을 꽃피운 조선 최고의 문인화가 ‘조희룡’, 한 섬에 두 번이나 유배되어 잊을 수 없는 비망록을 남긴 ‘박우현’, 오늘날까지 그 학풍이 섬마을에 유지되고 있는 ‘김평묵’, 20세기 초에 유배 생활을 하여 근대기 섬의 일상을 기록한 ‘김윤식’의 섬 생활 이야기가 담겨 있다.

-편집자의 말

우리는 흔히 역사를 일컬어 ‘거울’이라고 한다. 역사는 시간을 비추는 거울이기도 하고, 사람들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이기도 하다. 옛날에는 거울이 권력의 상징이었지만, 현재는 누구나가 다 원한다면 손거울을 들고 다닐 수 있는 시대다. 그리고 그것은 역사란 ‘거울’ 역시도 마찬가지다. 《세창역사산책》 시리즈는 사람들의 일상과 깊이 연관한 것들에 관한 이야기를 역사란 ‘거울’로 비춰 줌으로써 사람들에게 역사란 이름의 작은 손거울을 선물하고자 한다.

텔레비전에 나오는 사극을 볼 때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유배 장면이다. 때로는 주인공이 옳은 말을 했다가 유배 보내지기도 하고, 때로는 주인공이 악당을 유배 보내는 통쾌한 장면으로 쓰이기도 한다. 어떤 식으로 사용되건 사극에서 ‘유배’는 빼놓을 수 없는 요소다. 몇 년 전, 오랜만에 나온 정통사극 《정도전》에서는 주인공인 정도전이 정적인 이인임을 유배 보내는 내용이 나온다. 목숨은 부지하게 해 주겠다던 정도전은 이인임에게 중앙 정치에 관심도 지니지 말고 관여할 생각도 하지 말라고 경고한다. 여기에 바로 유배의 주목적이 있다. ‘유배’는 태·장·도·유·사 중 유(流)에 해당하는 형벌로서, 중죄인을 중앙 권력과 멀어지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리고 그 ‘유배’하면 또 하나 떠올리는 것이 바로, 유배 생활 중에 서당을 열어 유배지의 아이들을 가르치는 모습이나, 어디로 이동하는 것도 금지된 채 위리안치된 죄인들의 모습이다. 그런데 과연 유배인들의 실제 모습도 그러했을까? 저자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유배인들은 섬 주민의 입장으로는 큰 부담이었으며, 때때로 존경할 만한 위치에 있는 유배인들이 유배를 왔을 때만 섬사람들이 가르침을 청하며 제자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학파가 다르면 아무리 중앙 정치와 깊은 관련이 있던 유배인이더라도 사제관계를 맺지는 못했다고 말한다. 나아가 유배인들에게도 나름의 휴가가 있었으며, 여행을 즐기는 것을 넘어 여행안내를 받기까지 했다고 말한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유배인의 생활’과는 다르다. 저자는 실제 역사적 기록을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유배인의 모습과는 색다른 모습들을 선물해 주고, 섬사람들과 유배인들의 소통과 교류의 역사를 이야기해 줌으로써 우리를 새로운 사실 속으로 안내하고 있다. ‘섬’ 그리고 ‘유배인’, 이 둘은 모두 고립과 소외의 이미지를 깊이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섬도 사람 사는 곳이고, 유배인도 결국은 거기에 살아야 했던 사람일 뿐이다. 어딜 가나 사람 사는 곳의 사람은 다른 사람과의 만남, 교류를 통해 살아가야 하고 유배인도 예외는 아니다. 저자가 들려주는 유배인의 섬 생활 이야기를 통해서, 우리는 우리가 알고 있던 것과는 다른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야기’가 소중한 시대다. 얼마 전까지 ‘정보’가 곧 ‘재산’인 시대였다면, 이제는 단순한 ‘정보’만으로는 부족하다. 우리는 이제 더 많은 이야기를 알아야 하고, 그 이야기를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우리가 모르고 있던 유배인, 그리고 섬에 관한 이야기는, 그동안 소외되었던 섬의 문화와 이야기를 우리에게 전해 줄 것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 않는가. 이 책과 함께라면 사극에서 유배를 가는 장면이나 유배지의 장면이 나올 때,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이야기들이 펼쳐지면서 색다른 장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한국지방사를 전공하는 역사학자이다. 현재 국립목포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섬 전문 연구소인 도서문화연구원에서 활동하고 있다. 섬이 지닌 소통과 교류의 문화상을 재조명하는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섬 유배인에 대한 다양한 논문을 발표하였다.
지은 책으로는 『목포』(21세기북스, 2020), 『신안여행을 위한 문화관광 가이드북』(신안군, 2019), 『천사섬 신안, 섬사람 이야기』(크레펀, 2014), 『문순득 표류 연구』(민속원, 2012) 등이 있다.
섬 유배인과 관련된 논문으로는 「정약전의 흑산도 유배 생활과 저술 활동」, 「유배인 김약행의 〈유대흑기(遊大黑記)〉를 통해 본 조선 후기 대흑산도」, 「《자산록(玆山錄)》을 통해 본 19세기 후반 박우현의 우이도 유배 생활과 섬 사회상」, 「조선 후기 추자도 유배인의 추이와 생활 양상」, 「‘두류단(頭流壇)’을 통해 본 김평묵의 지도(智島) 유배 생활: 그 소통과 영향」, 「《속음청사(續陰晴史)》를 통해 본 20세기 초 김윤식의 지도 유배 생활과 도서 지역 사회상 변화」 등이 있다.

목차

책머리에

프롤로그: 섬과 유배인, 그 오해와 진실

1장 김약행, 대흑산도를 유람하다

2장 정약전, 물고기 백과사전을 만들다

3장 조희룡, 조선 문인화를 완성하다

4장 박우현, 유배지의 비망록을 남기다

5장 김평묵, 섬마을 두류강당을 형성하다

6장 김윤식, 근대기 섬의 일상을 기록하다

에필로그: 섬사람들의 탈경계적 공간인식

참고문헌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