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일제강점기 학살당한 한국인들 (커버이미지)
알라딘
일제강점기 학살당한 한국인들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장세윤 (지은이) 
  • 출판사동북아역사재단 
  • 출판일2021-12-31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일제강점기 한국인 학살 만행의 진상을 규명하다

우리 민족이 일본의 식민지에서 벗어난 지 76년이 되었지만, 일제강점기에 자행된 일본의 한국인 학살 만행의 진상은 아직도 제대로 규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책은 1894년 전후 시기부터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주의 침략 세력의 패망 전후 시기까지 약 55년간 일제 침략 세력이 국내외 각지에서 벌인 한국인 학살과 각종 만행의 진상을 서술하였다. 식민 지배의 역사를 청산하고 한일우호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과거 사실을 직시하고, 그 의의를 성찰하여 과거의 잘못을 다시 되풀이 하지 말아야 한다. 이 책이 과거와 현재 사살의 올바른 인식과 해석을 도와 참다운 한일 우호 관계를 정립하는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소개

성균관대학교 사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립기념관 연구원과 성균관대 연구교수, 고구려연구재단과 동북아역사재단의 (수석 )연구위원·한일관계연구소장, 수선사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30여 년간 국민대와 성균관대·한국예술종합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강의했다. 현재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수석연구원(동북아역사재단 명예연구위원), 한국근현대사학회 편집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독립운동사와 한국근현대사, 근현대 한중일 관계사 등에 관심이 많다. 『중국 동북지역 독립운동사』(선인, 2021: 2021년도 세종도서 우수학술도서 선정), 『일제
강점기』(눈빛, 2010, 공저) 등 많은 논저가 있다.

목차

발간사•2

머리말•5



1. 일본군의 동학농민군과 의병 학살 - 제노사이드•10

2.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 성격과 특징•29

3. 조선총독부 경찰과 조선 주둔 일본군의 3·1운동 탄압 •38

4. 일본군의 수원 제암리 학살사건•49

5. 충남 천안 병천(아우내) 3·1운동 탄압과 학살•58

6. 일본군의 ‘간도 출병’과 독립군 탄압 작전•64

7. 일본군의 ‘간도대학살(경신참변)’ 만행 개관•69

8. 중국 연변 ‘장암동 참변’ 다시 보기•77

9. 일본군의 연변 의란구, 송언동 학살사건•82

10. 일본군의 연변 용정·화룡·왕청현 등지 학살사건•85

11. 일본 관동대지진의 발생과 재일 조선인(한인) 학살•91

12. 『독립신문』의 관동대지진 때 한인 학살 관련 보도•104

13. 일제 당국의 조선인(한인) 강제연행•116

14. 중국 해남도(하이난섬) 한인 학살사건•120

15. 일제 패망 직후 사할린 일본인·경찰의 한인 학살•129

16. 맺음말: ‘학살당한 민중’과 아직도 남아있는 진실규명 문제•138



참고문헌•142

찾아보기•147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