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테베랜드 (커버이미지)
알라딘
테베랜드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세르히오 블랑코 지음, 김선욱 옮김 
  • 출판사지만지드라마 
  • 출판일2024-06-27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세르히오 블랑코는 현재 스페인어권에서 가장 유명한 극작가이자 연출가다. 2023년 〈테베랜드〉 한국 초연을 위해 내한해 관객과 만났다. 드라마는 작가 자신을 연상시키는 인물 ‘S’의 내레이션으로 시작한다. ‘S’는 존속 살해를 주제로 한 연극에 진짜 존속 살해범을 출연시키겠다는 프로젝트를 소개하며 관객과 독자를 본격적인 이야기 속으로 이끈다.

우리 모두는 오이디푸스처럼 모호한 테베를 가지고 있어요. 조금 혼란스럽고 어두운 곳. 이해할 수 없는 영역 같은 거요.

연극의 주제는 첫 장면에서 작가에 의해 제시된다. ‘존속 살해’다. 곧바로 존속 살해의 상징 오이디푸스가 소환된다. 마르틴은 현대판 오이디푸스 같은 인물이다. 드라마가 전개되면서 마르틴이 잔혹하게 아버지를 살해하게 된 배경이 드러난다. 이 드라마는 “마르틴이 왜 아버지를 죽였을까?” 살해 동기를 파헤치도록 설계된 미스터리 추리물이 아니다. 질문은 다른 데서 터진다. “오이디푸스를 존속 살해범으로 볼 수 있을까?”
오이디푸스는 웬 노인을 몽둥인지 뭔지로 쳐 죽일 때 상대가 아버지인 줄 몰랐다. 마찬가지로 스핑크스에게서 테베를 구하고 그 공로로 테베 왕비와 결혼할 때 상대가 어머니인 줄 몰랐다. 이를 진짜 존속 살해, 근친상간이라 할 수 있을까?
라이오스는 아들에게 왕국을 빼앗기리라는 예언에 겁먹고 갓 태어난 아들을 죽이려고 했다. 그를 진짜 아버지라 할 수 있을까?
이런 질문들로부터 제목이 정해졌다. “테베랜드”!
모호하고 혼란스럽고 어둡고 이해할 수 없는 영역, ‘S’는 우리 모두가 그런 ‘테베’를 가졌다고 말한다. ‘테베’는 한때의 아들들이 어른으로 성장하기 위해 발목을 묶고 뛰어내려야만 하는 바누아트의 절벽인 걸까?

모두들 조금은 자기 아버지를 죽이고 싶어 한다고요

마르틴이 ‘S’에게 묻는다. “당신도 아버지를 죽이고 싶었던 적 있나요?” 바로 그날 아침에도 아버지와 통화하며 애정을 나눈 ‘S’도 나중엔 말끝을 흐리며 어쩌면 틀림없이 그랬을 거라고 고백한다. 오이디푸스와 명백히 다른 점은 마르틴도, S도, 우리도 죽이고 싶었던 상대가 ‘아버지’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오이디푸스는 존속 살해의 가장 강력한 상징이 되었지만 실제 ‘존속 살해’라는 죄에서는 완전히 자유롭다. 그러나 상징을 읽고 쓰는 우리는 최소 존속 살해 기도(?)범이다. 이제 오이디푸스와 마르틴에게서 빠져나온 질문이 독자, 관객에게 돌진한다. 우리는 각자의 테베랜드에서 어떤 죄와 벌을 감당했을까, 혹은 감당하게 될까?

사실 그 거리가 바로 예술을 항상 현실보다 더 우월하게 만들죠

이 모든 이야기가 바로 실제처럼 재현된다. ‘S’는 세르히오 블랑코 자신 같고, 마르틴은 그가 인터뷰한 재소자 같다. 그렇게 ‘테베랜드 프로젝트’가 진행되어 결과물인 이 텍스트, 이 연극을 보게 된 것 같다. 그런데 꼭 그런 건 아닌 것 같기도 하다.
실제인지 허구인지 모를 이 모호함은 작가이자 연출가로 설정된 1인칭 서술자가 이야기를 전하면서 비롯된다. ‘오토픽션’ 전략이다. 극과 현실의 경계도 이처럼 모호한데 페데리코라는 배우의 존재는 극과 극중극의 경계까지 흩트린다.
마르틴은 연극이 어떤 방식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자신을 재현할 수 있다는 건지 이해하지 못한다. 누구도 마르틴을 대신할 수 없다. 마르틴의 이야기를 온전히 전할 수도 없다. 연극은 그 거리감으로부터 인물과 사건을 창조해 내는 예술이다. 단순 모방과 결정적으로 다른 지점이다.
존속 살해라는 고전 주제 아래서 정치 철학 예술을 깊이 파고드는 질문들이 종횡으로 만난다. 정교하게 코드화된 작품을 요모조모 뜯어보며 해독하는 “지적 유희”를 즐겨 보길 바란다.

저자소개

현재 스페인어권에서 가장 유명한 극작가이자 연출가 중 한 명. 1971년 우루과이에서 태어나 몬테비데오에서 청소년기를 보냈고 현재는 파리에 거주하고 있다. 대학에서 고전 문학을 전공한 뒤 프랑스 코메디아 프랑세즈에서 연출을 공부하고 전적으로 희곡 집필과 연출 활동을 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도살(Slaughter)〉, 〈야만(Barbarie)〉, 〈카산드라(Kassandra)〉, 〈다윈의 도약(El salto de Darwin)〉, 〈오스티아(Ostia)〉, 〈뒤셀도르프의 포효 소리(El bramido de Dusseldorf)〉, 〈당신이 내 무덤 위를 지나갈 때(Cuando pases sobre mi tumba)〉, 〈교통(Trafico)〉, 〈실종에 대한 지도 제작(Cartografia de una desaparicion)〉, 〈코비드 451(COVID 451)〉 등이 있다. 그의 연극은 전 세계 25개국 이상에서 출판되고 공연되었으며, 2022년 밀라노의 피콜로 극장에서 신작 〈동물원(Zoo)〉을 발표했다. 극작과 연출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 세미나와 강의를 하는 등 학술 활동도 활발히 병행하고 있다. 2013년 우루과이 국립극단의 초청을 받아 1년 동안 국립극단 연구소장으로 일하고, 2014년 우루과이 국립 무대예술 학교에서 1년 동안 수행할 오토 픽션을 주제로 한 연극 연구를 진행했다.

목차

나오는 사람들

1부

2부

3부

4부

에필로그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