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한국 SF 명예의 전당 - SF Award Winner 2014-2021: 乾 (커버이미지)
알라딘
한국 SF 명예의 전당 - SF Award Winner 2014-2021: 乾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보영, 김창규, 박문영, 심너울, 아밀, 이서영 (지은이) 
  • 출판사아작 
  • 출판일2022-04-21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한국 SF 역사상 가장 경이로운 작품집!
김보영, 김창규, 박문영, 심너울, 아밀, 이서영 작가의
SF 어워드 대상 수상작을 한 자리에 모두 모았다!


‘한국 SF 어워드’는 2014년에 시작되었다. 매년 그해에 발표된 SF 작품들을 검토하여, 우수하고 의미 있는 작품들에 시상을 해오고 있다. 시행착오와 부침이 있었지만, 한국 SF의 역사를 통틀어 10년 가까이 이렇게 연속해 운영되고 있는 상은 아직 없다. 그러니 SF 어워드는 2010년대부터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확장된 한국 SF의 궤도를 확인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매년 가장 많은 응모작을 두고 가장 치열한 최종심을 거쳐 결정되는 중단편 부문의 대상작은 그야말로 그 시기 한국 SF에서 가장 빛나는 성과다.
‘한국 SF 명예의 전당’을 여는 첫 번째 책에는 2010년대 한국 SF의 진면목을 보여줄 수 있는 2014년부터 2021년까지의 한국 SF 어워드 대상작을 모두 모아 실었다. 또한 가능하다면 ‘한국 SF 명예의 전당’을 통해 대상 수상작들뿐만 아니라 본상을 받은 모든 작품을 모아 독자들에게 선보이려 한다. 우수상을 받은 작품까지 모두 모으면 ‘한국 SF 명예의 전당’은 단행본 네 권 분량이 된다. 시리즈의 순서는 ‘건곤감리(乾坤坎離)’로 잡았다. 4괘의 순환이 만물의 순환과 세상의 운행을 보여준다고 하듯 이 시리즈를 통해 지난 10년간의 한국 SF의 흐름을, 작가들의 면면으로는 지난 30년간의 역사를 모두 확인할 수 있기를 바란다.

SF 어워드의 존재 가치를 보여주는 책!
— 이정모, 국립과천과학관장

한국 SF의 가치들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 이지용, 문화평론가

서문

한국 SF의 가치들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한국 SF 어워드’는 2014년에 시작되었다. 매년 그해에 발표된 SF 작품들을 검토하여, 우수하고 의미 있는 작품들에 시상을 해오고 있다. 시행착오와 부침이 있었지만, 한국 SF의 역사를 통틀어 10년 가까이 이렇게 연속해 운영되고 있는 상은 아직 없다. 그러니 SF 어워드는 2010년대부터 새로운 형태로 발전하고 확장된 한국 SF의 궤도를 확인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매년 가장 많은 응모작을 두고 가장 치열한 최종심을 거쳐 결정되는 중단편 부문의 대상작은 그야말로 그 시기 한국 SF에서 가장 빛나는 성과다. 그러니 그간의 중단편 부문 소설 대상 수상작품을 모아보는 것은 한국 SF가 그동안 어떠한 형태와 의미들을 만들어 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지표임에 틀림없다.

이 책에 수록된 작품들의 특성을 톺아보면 한국 SF가 보여주고 있는 의미들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제1회 대상작이었던 김창규의 〈업데이트〉를 보자. 〈업데이트〉에 대해 김창규는 의료민영화에 대한 사회적 담론의 부조리를 느끼면서 발표한 작품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국 사회는 2010년대로 접어들면서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거대 담론들에 종식을 고하고, 개인적이고 미시적인 측면에서의 문제들, 그리고 이를 촉발하거나 저지하는 다양한 사회적 안전망 및 인프라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자연스럽게 그런 문제들에 대한 비판적 사고실험에 유용한 SF 장르에서의 시도들이 의미를 획득했는데, 대표적인 예가 바로 김창규의 〈업데이트〉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김창규는 이 작품을 시작으로 이후 〈우리가 추방된 세계〉와 〈우주의 모든 유원지〉를 통해 총 3회의 대상을 받게 되는데, 동시대의 사회적 분위기에서 SF 장르가 보여줄 수 있는 장점들을 명확하게 구현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김창규는 탄탄한 문장과 치밀한 서사 구조를 통해서 단편 소설이라는 형식으로 보여줄 수 있는 완성도 높은 스토리텔링 역시 구사하고 있다. SF에 대한 한국 독자의 관심도가 지금과 같이 높지 않았던 해당 시기에 발표된 김창규의 작품들을 뒤늦게 접한 이들이 한국에 이런 작가가 있었다는 사실에 놀라워한 것은 SF라는 장르와는 별개로, 김창규가 소설가로서 보여준 소설 형식의 완성도가 컸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설적 완성도는 중단편 소설을 논할 때 특히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데, 김창규는 중단편 소설의 미학적 완성도를 SF가 보여줄 수 있는 사고실험 및 경이의 세계와 버무려 구현하는 데 아주 탁월한 작가이다. 〈우리가 추방된 세계〉에서 보여준 세월호 사건에 대한 메시지를 지나, 〈우주의 모든 유원지〉에 이르면 한국 사회의 복잡다단한 이슈들을 관통해 온 작가가 조금 더 미래지향적이고 진보적인, 인류 보편적인 가치들을 논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는 일종의 선언을 마주한다. 이러한 변화의 궤도를 통해 한국 SF가 2010년 이후 현대사의 흐름에서 문학으로서 현실을 비추는 거울의 역할을 명확하게 견지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김창규의 4회 연속 대상 수상을 저지(?)한 박문영의 〈사마귀의 나라〉는 SF의 전형적 세계관인 포스트 아포칼립스를 이용해 자본주의의 문제점을 사고한 현대적인 작품이었다. 특히 삶의 구체적인 부분에서 터져 나오는 부조리의 묘사는 2010년 이후 한국 사회에서 심화되기 시작한 자본의 불평등 문제에 대한 날카로운 사고실험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서 SF가 보여줄 수 있는 시뮬라크르의 다양성은 사실주의 기반의 서사들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사마귀의 나라〉가 대표적인 예다.

한국 사회의 구조적이고 제도적인 문제들에 대해 한국 SF는 회피하지 않고 이의를 제기하며 정면으로 마주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수상작들이 보이는 다양한 장르적 장치의 활용은 SF가 과학적인 정보나 경이와 환상의 세계라는 굴레에만 갇혀 있지 않다는 사실의 충분한 예시들이 된다. 더욱이 한국 사회의 현실들을 직면하기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해외로부터 유입된 모방적 장르가 아니라 ‘한국에서 한국어를 사용하여 소설을 쓰는 작가들이 한국의 이야기를 사고실험하는’ 장르로서의 의미들이 다시 형성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은 이후 한국 사회가 가지고 있는 미시적이고 구체적인 문제들에 관한 이야기들을 반영하는 쪽으로 발전하였다.

그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김보영의 〈얼마나 닮았는가〉이다. 작품에 발표되던 시기에 한국 사회가 마주하고 있던 이슈 중 하나는 젠더(gender)와 관련된 것이었다. 이 작품은 젠더에 대한 사회적 감각들을 인공지능이라는 가장 SF적인 캐릭터를 통해서 사고실험하는 작품이었다. 그러면서도 김보영 특유의 유려한 서술이 전체 서사를 관통하면서 개성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낸다. 한국 사회에서 그동안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던 젠더에 대한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목소리들이 격렬하게 터져 나오던 시기에 김보영의 작품이 보여준 메시지는 SF라는 장르이기 때문에 가능한 개성을 확실하게 보여주는 주목할 만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SF로서의 세계관과 소재들을 완벽하게 구사한 이 작품은 젠더에 대한 편견 문제를 환기하는 것뿐만 아니라, SF라는 장르에 입문하는 이에게 추천해도 손색이 없는 수작이다.

이후 한국 SF는 점점 이전에 없던 사회적 관심을 받기 시작하며, 팬덤 위주의 작은 판에서 벗어나 한국의 서사문학에서 가장 주목받는 장르 형식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양적인 성장도 두드러져, SF 어워드의 심사 대상작으로 집계되는 작품의 수 역시 이 시기부터 전년도의 두 배 이상을 기록했다. 그에 따라 이전보다 훨씬 더 다양한 주제들을 다루는 특색 있는 작품들이 대거 등장하게 된다. 독자층도 이러한 상황에서 SF가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개성들을 폭넓게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작가들은 이에 호응하여 이전보다 훨씬 더 과감한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다양성과 개성이 심너울의 〈세상을 끝내는 데 필요한 점프의 횟수〉, 아밀의 〈라비〉, 이서영의 〈지신사의 훈김〉이라는 성과로 발현되었다.

심너울의 〈세상을 끝내는 데 필요한 점프의 횟수〉는 한국 SF의 다양성이 얼마나 확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한국 SF의 트릭스터와 같은 재기발랄함을 보여주는 심너울은 경이와 환상의 세계보다는 현실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근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사건과 사고들을 재치 있게 배치하여 소설을 구성한다. 심너울의 SF에는 사회적인 부조리에 대한 무겁고 심각한 문제 제기는 없지만, 독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메시지들이 그 어떠한 비판적 사고실험보다도 효과적으로 구현된다. 〈세상을 끝내는 데 필요한 점프의 횟수〉 역시도 이러한 형태인데, SF라는 장르가 가지고 있는 21세기적인 지향점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대상 작품으로서 손색이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아밀의 〈라비〉는 현대사회가 가지고 있는 본질적인 가치들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 인간 중심적인 사고들이 초래하게 되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부조리들을 통찰하는 서사의 전개는 SF가 보여주는 경이의 세계와 모험 서사의 특징을 내포하고 있으면서도 그것의 주체가 인간이나 인간이 이룩한 문명은 아니라는 사실을 드러낸다. 이러한 논의들은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나타난 다양한 전 지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인류세(Anthtropocene)적 논의나 객체지향존재론(Object-Oriented Ontology)을 비롯한 신유물론(New Materialism)적 담론과도 맞닿아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SF가 보여줄 수 있는 현대적인 감각과 깊이를 확인시키는 작품이다.

마지막으로 이서영의 〈지신사의 훈김〉은 한국의 SF가 얼마나 다양한 방향으로 발전하였는지, 그리고 이를 수용하고 향유하는 독자와 평단의 역량 역시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극명히 보여준다. ‘조선스팀펑크’라는 주제를 가지고 기획된 앤솔러지 《기기인도로》의 수록작이었던 이 작품은 하위장르적 분류에서 BL(Boys‘ Love)이라는 형식을 부여할 수 있기도 하다. 대중문화에서 이미 하나의 형식으로 자리하고는 있으나 주류라고 불리지 못하고 있던 양식이 과감하게 시도된 작품에 SF 어워드 대상을 수여했다는 사실은, 물론 작품이 가지고 있는 매력과 완성도가 가능케 한 것이겠지만, 양식과 시도의 가치를 직시하고 과감하게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한국 SF 장(field)의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F 어워드의 중단편 부문에서 대상을 받은 작품들은 그 면면을 보았을 때 한국 사회가 그동안 변화해온 양상과 그 시대만의 문제를 파악함과 동시에, 그러한 문제들에 긴밀하게 반응하고 몰두해온 한국 SF의 가치들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SF 작품들이 사회적이고 구조적인 부조리의 문제들로부터 시작해, 젠더 불평등 및 편견과 같은 내재된 문제들을 지나 미시적이고 다양하게 드러나는 문제들에 다양한 형식으로 반응하고 있는 것을 보았을 때, 이후로의 한국 문학장에서 SF가 보여줄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지금까지 보여주었던 작품들의 가치들을 외삽(extrapolation)해 보았을 때 몇 년 뒤 다시 모이게 될 한국 SF 어워드 중단편 부문 대상 수상작들에 대한 기대감이 큰 것은 이러한 변화와 발전의 맥락들 때문이다.

— 이지용, 문화평론가

편집자 후기

한국 SF 명예의 전당을 열면서


2008년에 설립해 2011년까지 20여 권의 SF를 내며 활발히 출판을 하다가, 모기업의 부도로 지금은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어느 출판 브랜드에서 여전히 계약을 해지하지 않고 10년 넘게 판매 중인 책이 있으니 바로 ‘SF 명예의 전당’ 시리즈다. 미국의 작가이자 편집자인 로버트 실버버그와 벤 보버가 각각 엮은 두 권의 원서가 나온 것이 1970년대 초인데, 영미권 SF 황금기의 유산을 고스란히 물려받은 이 책들의 한국어판이 여전히 절판되지 않은 것은 한국의 SF 독자들에게도 여전히 필독서와 다름없이 사랑받고 있기 때문일 터다.

들을 때마다 손사래를 치긴 하지만 근래 한국 SF의 황금기라는 이야기를 종종 듣는다. 아작이 처음 책을 내기 시작하던 2015년 연간 출간 종수 10여 종에 불과하던 한국 작가의 SF가 2021년에는 70종 넘게 출간되었으니 매주 한 권씩 한국 SF 작품이 쏟아져 나온 셈이다. 아작 역시 그간 해외 SF를 주로 소개해왔기에 2020년까지의 출간 리스트에서 한국 SF는 연간 4, 5종에 불과했으나 2021년에는 20종에 가까웠다.

분명 ‘SF’의 붐까지는 몰라도 ‘SF 출판’의 붐은 온 것 같다. 대형 문학 출판사는 물론이고 나름 전문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던 중소 출판사들까지 SF 출판에 가세해, 2022년 1사분기에만 벌써 30종에 이르는 작품이 출간되었다. 듀나와 김창규를 비롯한 일군의 젊은 작가들이 본격적으로 한국 SF를 쓰기 시작한 1990년대 초부터 지난 30년간 총 500여 종의 한국 SF가 출간되었는데, 이제 한 해에만 100여 종이 쏟아지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중에서도 중단편 소설의 물량이 압도적이다. 한국 SF 어워드 심사위원회에 따르면 2020년 SF 어워드에서 심사 대상에 오른 한국 SF 중단편이 300편이었는데 2021년 SF 어워드에서는 480편에 이르렀다. 2022년 SF 어워드에서는 몇 편으로 증가할지 가늠조차 되지 않는다. 이제 출간되는 한국 SF 작품을 일반 독자가 모두 읽는다는 건 물리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워졌다.

본격적인 한국 SF의 시대를 맞이하면서 무엇보다 일종의 시금석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기에, 아작에서는 그에 합당한 작품들에게 마땅한 자리를 마련하기로 했다. 타이틀은 ‘한국 SF 명예의 전당’로, 이는 ‘SF 명예의 전당’에 바치는 헌사다.

‘한국 SF 명예의 전당’을 여는 첫 번째 책에는 2010년대 한국 SF의 진면목을 보여줄 수 있는 2014년부터 2021년까지의 한국 SF 어워드 대상작을 모두 모아 실었다. ‘한국 SF 어워드’는 2014년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시작된 상으로 몇 해를 이어오다 정부의 지원이 끊어지자 김보영 작가를 위시해 많은 작가와 팬들이 힘을 모아 어렵사리 명맥을 이었다. 그리고 이정모 관장이 취임하며 2020년 다시 제대로 된 어워드의 위용을 회복할 수 있었다. 부디 ‘한국 SF 어워드’가 10년, 20년을 넘어 계속 이어져서 한국 SF의 산증인이 되어주길 바라마지 않는다.

또한 가능하다면 ‘한국 SF 명예의 전당’을 통해 대상 수상작들뿐만 아니라 본상을 받은 모든 작품을 모아 독자들에게 선보이려 한다. 우수상을 받은 작품까지 모두 모으면 ‘한국 SF 명예의 전당’은 단행본 네 권 분량이 된다. 시리즈의 순서는 ‘건곤감리(乾坤坎離)’로 잡았다. 4괘의 순환이 만물의 순환과 세상의 운행을 보여준다고 하듯 이 시리즈를 통해 지난 10년간의 한국 SF의 흐름을, 작가들의 면면으로는 지난 30년간의 역사를 모두 확인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미 출간된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 SF 어워드’의 특성상 출판권을 확보하는 일이 쉽지는 않다. 이 책 역시 그간 아작에서 확보한 대상 수상작들의 출판권에 보태어 비채와 안전가옥 두 출판사에서 쾌히 재수록을 동의해주셨기에 가능했다. ‘한국 SF 명예의 전당’이 수록 작가들의 모든 작품으로 독서의 영역을 확장하는 내비게이션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한다. 외람되지만, 처음으로 단행본에 편집자 후기를 쓰는 이유다.

— 최재천, 편집장

저자소개

2004년《촉각의 경험》으로 제1회 과학기술 창작문예 중편 부문에서 수상하며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7인의 집행관》으로 제1회 SF 어워드 장편 부문 대상을, 《얼마나 닮았는가》로 제5회 SF 어워드 중단편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한국 SF 작가로서는 처음으로 미국의 대표적인 SF 웹진《클락스월드(Clarkesworld)》에 단편소설 《진화신화》를 발표했고, 세계적 SF 거장의 작품을 펴내 온 미국 하퍼콜린스, 영국 하퍼콜린스에서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 《저 이승의 선지자》 등을 포함한 선집 《I’m waiting for you and other stories》가 출간되었다.
2021년 개인 영문 단편집 《On the Origin of Species and Other Stories(종의 기원과 그 외의 이야기들)》(Kayapress)로 전미도서상 번역서 부문 후보에, 《Whale Snows Down(고래 눈이 내리다)》으로 로제타상 후보에 올랐다.
소설가가 되기 전에는 게임 개발팀 ‘가람과바람’에서 시나리오 작가/기획자로 활동했다. 《이웃집 슈퍼히어로》, 《토피아 단편선》, 《다행히 졸업》, 《엔딩 보게 해주세요》 등 다수의 단편집을 기획했다.

목차

추천사_5

서문_9



이서영 │ 지신사의 훈김 • 17

아밀 │ 라비 • 69

심너울 │ 세상을 끝내는 데 필요한 점프의 횟수 • 119

김보영 │ 얼마나 닮았는가 • 169

김창규 │ 우주의 모든 유원지 • 243

김창규 │ 우리가 추방된 세계 • 263

박문영 │ 사마귀의 나라 • 313

김창규 │ 업데이트 • 409



저자 소개_427

편집자 후기_431

부록 │ 역대 한국 SF 수상작 리스트_437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