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부동산 하락장에서 살아남기 - 금융 위기 하락장을 먼저 겪은 투자자의 현실 조언 (커버이미지)
알라딘
부동산 하락장에서 살아남기 - 금융 위기 하락장을 먼저 겪은 투자자의 현실 조언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대치동 키즈 (지은이) 
  • 출판사재유 
  • 출판일2022-10-11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무주택자부터 다주택자까지, 금융 위기 하락장을 먼저 겪은 15년 차 투자자가 건네주는 맞춤형 답안지!"

15년 차 투자자 대치동 키즈는 과거 금융 위기 후 하락장을 겪은 경험을 토대로, 급등장이었던 2020년에 “내 집 없는 부자는 없다.”라는 책을 통해 앞으로 닥칠 시장의 변화를 설명하고 미리 준비하자고 역설했다. 그리고 2년 후인 2022년, 완전히 바뀐 부동산 시장으로 혼란스러워하는 이들에게 이번 책을 통해 시장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설명하고, 새로운 시장 사이클에 맞는 투자 자세와 대처 방법을 알려준다. 이를 위해, 지난 2년 동안 블로그에서 나눈 2,000건 이상의 댓글들을 모아 무주택, 1주택, 다주택으로 정리하여 각각 해법을 제시하였다. 22년 겨울, 부동산 시장은 과연 어디로 가고 있고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저자의 첫 책 “내 집 없는 부자는 없다”가 출간되었던 2020년 6월은 O 천만 원으로 OO 억 부자가 되었다는 식의 무용담이 부동산 시장참여자들의 머릿속을 채우던 급등장이었습니다. 당시 저자의 책에서 제안한, 사이클을 보지 말고 생애 주기를 보고 내 집을 마련하자는 생애 주기 이론과 자산을 뿌리-줄기-잎으로 구분한 하락장에서도 무너지지 않는 선순환 투자 방법은 많은 3040 월급쟁이 투자자들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리고, 2년이 지나 하락장에 접어든 지금까지도 당시 책에 언급된 하락장의 모습이 다시금 언급되면서 스테디셀러가 되었습니다.

하락장의 기세가 완연한 22년, 어느덧 블로그 이웃 6만 명의 파워 인플루언서가 된 저자는 다시금 지난 금융 위기 하락장의 경험을 꺼내어, 완전히 바뀐 부동산 시장으로 혼란스러워하는 이들에게 새로운 시장 사이클에 맞는 투자 자세와 대처 방법을 전하려고 합니다. 그 방법은 단순 책상 앞에서 적은 부동산 투자방법론이 아닌 변화무쌍한 자본주의 시장을 살아가는 현명한 삶의 방법이자 경험입니다.

이제 시장의 규칙이 바뀌었습니다. 저자의 말처럼 이제는 상승장의 관성적 투자를 지우고 하락장 투자를 새롭게 익힐 때입니다. 그래야, 부동산 하락장에서 살아남아야 다음 기회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 하락장에 대한 공포가 만연하나 길이 보이지 않는 지금, 바로 이 책을 읽을 때입니다.

저자소개

2007년부터 투자한 대치동 출신 부동산 투자자이며 '내 집 없는 부자는 없다'의 저자입니다. 지난 2009년 금융 위기 하락장을 경험한 후 재기하여 하락장에도 흔들리지 않는 뿌리-줄기-잎이라는 부동산 자산 운용시스템을 고안했습니다. 블로그 ‘대치동 키즈의 또~엇’을 통해 6만 명 이상의 이웃들과 보통 사람들의 현실 투자와 사업, 인생 이야기로 공감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blog.naver.com/yhopskin

목차

프롤로그

22년 겨울, 부동산 시장은 과연 어디로 가고 있을까?

관성적 투자를 지우고 하락장이라는 새로운 문법을 배울 때입니다.



PART1 무주택자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 부동산 하락장, 내 집을 사는 것이 불안합니다.

- 무주택자로 있는 것도 불안하지만 주택을 사는 것도 불안합니다.

- 이제 와서 내 집을 사려니 너무 늦은 거 같아요.

- 내 집을 사려니 배우자가 반대합니다.

- 제 인생이 부정당한 것 같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2. 부동산 하락장, 내 집 마련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지금 시기에 무주택자 내 집 마련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생애 주기를 따르는 것이 내 집 마련에 동기 부여가 될 수 있을까요?

- 집을 정하기가 너무 힘듭니다. 저 결정장애인가요?

- 급매를 잡는 방법이 궁금해요.

Coffee break : 스톡 데일 대령이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에게 주는 조언



PART2 1주택자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3. 부동산 하락장, 갈아타기가 고민돼요

갈아타려고 집을 내놨는데 거래가 안 됩니다. 기다려야 할까요?

기존 집이 팔리지 않습니다. 비과세를 포기해야 할까요?

갈아타기를 해야 하나요, 집 수를 늘려야 하나요?

침체장이라는데, 더 주고 로열 층 vs 급매 비선호 층 중 무엇이 나을까요?



4. 1주택자를 넘어, 다주택자가 되고 싶어요

1주택자는 앞으로 어떻게 투자해야 할까요?

실거주 목표 달성 후 허무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1주택자를 넘어 자산가가 되고 싶은데 세금 압박으로 엄두가 안 납니다.

집은 파는 게 아니라 모아가는 거라는데 맞나요?

Coffee break : 이제는 내 집을 뿌리 삼아 부동산 선순환 투자를 고민할 때입니다.



PART3 다주택자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5. 부동산 하락장, 매매도, 전세도 안 나가요

매수만 하고 매도한 적이 없습니다. 언제 팔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같은 시기, 어떻게 해야 매도를 잘 할 수 있나요?

전세를 빼기 위한 팁은 무엇이 있을까요?

마음이 힘든 이 시기에 어떤 자세로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6. 부동산 하락장, 투자를 멈추니 답답합니다.

예기치 못한 변화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부동산 투자를 할 수가 없어요.

돈이 묶인 것을 알면서도 아무것도 안 하고 있으려니 답답합니다.

부동산에 대한 열정이 사라지려 할 때 어떻게 극복하나요?

부채가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어떻게 관리해야 투자할 수 있을까요?



7. 다주택자를 넘어 투자를 넓혀가고 싶어요

다주택자이다 보니 투자 엄두가 안 납니다.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요?

투자할 때 혼자 결정을 내려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열의는 넘치는데, 실행하기가 너무 어려워요.

새로운 부동산 분야 투자의 두려움을 이기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Coffee break : 시황에 흔들리지 않는 투자를 하려면 돈의 원칙이 중요합니다.



에필로그 : 경제적 자유를 이루려면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