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실패는 나침반이다 - 50대 개발자의 실리콘밸리 회고록 (커버이미지)
알라딘
실패는 나침반이다 - 50대 개발자의 실리콘밸리 회고록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한기용 지음 
  • 출판사이오스튜디오 
  • 출판일2024-02-27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인생에 꼭 한 번 만나고 싶은 멘토”
실리콘밸리 커리어 코치가 전하는
일과 삶, 성장과 지속가능성의 비밀


임원으로 승진한다는 소식을 들은 순간 회사에 사직서를 냈다. 40대에 접어들었을 때 돌연 11개월간 쉬는 ‘안식년’을 택했다. 인생에 결정적인 순간마다 다른 사람들이라면 망설였을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었다. 일과 삶, 성장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나름의 원칙이 있었기 때문이다.
책 <실패는 나침반이다>의 한기용 저자는 이처럼 커리어의 구비마다 과감한 선택으로 주위를 놀라게 했다. 삼성전자에서 엔지니어로 사회생활을 시작했지만, 안정적으로 보이는 직장을 벗어나 2000년도에 미국 실리콘밸리로 이주하면서 10개 이상의 크고작은 조직을 경험하는 ‘커리어 모험’이 시작됐다.
그의 커리어 이야기에는 우리의 현재와 미래가 모두 담겨있다.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무색해진 지금, 직장인들은 소위 ‘사이드잡’을 찾으며 1인 창업자를 자임한다. ‘대이직의 시대’라는 키워드, ‘100세 시대’라는 표어가 맞물려 커리어 불확실성은 커졌다. 이러한 흐름을 따라 사람들은 정보를 찾아, 뜻이 맞는 인간관계를 찾아 커뮤니티로 모여든다.
저자는 30년 가까이 업의 본질과 커리어, 커뮤니티에 관해 고민하고 직접 시행착오를 겪어왔다. 본업에 충실해 성과를 내면서도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배움을 기꺼이 나누며 ‘부캐’를 얻었다. 이는 곧 커리어 코치를 찾는 커뮤니티로 확장했다. 이제는 50대 이후 새로운 도전을 앞둔, 인생 삼모작을 준비하는 그다.
책의 1장과 2장은 저자의 이러한 여정을 자세히 기록했다. 17년 만에 안식년을 맞이한 후 저자가 얻은 깨달음, 그 깨달음을 삶에 체화하기 위한 실천 방안이 담겼다. 장기적으로 어떻게 커리어의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 저자의 관점과 이야기를 통해 접할 수 있다.
3장, 4장, 5장은 일의 현장에서 우리가 맞닥뜨릴 법한 고민과 그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한다. 어째서 무작정 열심히 일만 해선 안 되는지, 어떻게 슬기롭게 목표를 이루는 사람이 될지, 사회초년생에서 중간 매니저가 될 때 어떤 함정이 기다리고 있으며 연차 높은 시니저나 리더급 인재는 어떻게 일해야 하는지 폭넓게 아우른다.
6장은 삶의 일부로서 일을 대하는 자세에 대해 다룬다. ‘어떻게 30년 더 일할 것인가’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무작정 성장을 독촉하지도, 회사가 지옥이니 노동에서 벗어나라고 거짓말을 하지도 않는다. 삶의 주인으로서 우리가 일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어떻게 살아갈지 이야기한다. 저자의 생생한 경험이 주장을 뒷받침한다.
기나긴 커리어 여정을 앞두고 고민하는 이들에게 이 책은 종종 다시 꺼내 읽고 싶은 나침반의 역할을 할 것이다. 일과 삶의 한복판에서 방황하는 직장인을 위한 서늘한 위로와 따뜻한 충고가 적혀 있는 책이다. 결국 나이가 들어 리더의 자리에 서야 할 수많은 사람들에게 저자의 발자국이 하나의 표지판이 되길 바란다.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석사 졸업 후 삼성전자에서 커리어를 시작했다. 친구 덕에 실리콘밸리로 가는 모험을 택하고서 지난 30여 년간 창업을 포함해 여러 스타트업을 경험했다. 야후와 같이 규모 있는 테크 기업에 다니면서 나 자신을 알고, 11개월의 안식년을 통해 현재에 집중하는 삶이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다. 커리어 후반에는 엔젤투자, 자문, 컨설팅, 멘토링 등을 하며 본인만의 브랜드를 만들고 있다. 실패를 실패가 아닌 교훈으로 보는 긍정의 힘과 꾸준함이라는 복리의 힘을 믿는다.

목차

개요 상세 <실패는 나침반이다>



프롤로그 : 그때 이랬다면 어땠을까 5



1장 30년만에 ‘나다움’을 고민하다



삼성맨’이 미국서 13개 회사를 다니기까지 15

중년의 위기, 오히려 좋다 22

‘경험이 많을수록 현명해진다’는 착각 26

내 삶의 리더십을 회복할 때 31



2장 장기적인 관점 연습하기



나의 발목을 잡는 ‘나이 강박’ 43

나 자신을 뛰어넘고 싶다면 47

낙관적인 태도의 역설 51

‘두 번의 실패’만은 피하고 싶을 때 54

‘100점짜리 정답’은 없습니다 60

실패를 배움으로 만드는 장기전 64

‘좋은 사람’이 이기는 게임 70



3장 더 적극적으로 질문했다면



열심히 일하면 놓치는 것들 77

우는 놈 떡 하나 더 준다? 80

어떻게 질문을 하면 좋을까 85

간절함은 ‘질문 요정’을 만든다 94

주기적인 회고와 실행의 루프 96

질문하는 습관을 자동화 하는 법 103



4장 뒤돌아볼 줄 알아야 살아남는다



수능 공부 하듯 살고 있나요? 113

‘대기업은 안전하다’는 환상 117

이제는 커리어도 애자일이다 121

부캐가 없어도 괜찮아 125

직업이 아니라 ‘영향력’을 추구하라 131

내 장점이 언제나 장점일까 135

수많은 경력 단절을 마주할 우리들 141



5장 언젠가 리더가 될 당신에게



리더가 되는 연습의 연속 151

나보다 똑똑한 사람을 뽑아야 한다 156

건강한 갈등 vs. 인위적인 하모니 162

리더가 알아야 하는 ‘피드백의 기술’ 166

건설적인 피드백, 이렇게 하면 독? 170

성숙한 리더들의 피드백 실전 175

리더십은 커리어의 극치 179



6장 어떻게 30년 더 일할 것인가



다시 출발선에 서야 한다 187

지치지 않고 새로운 목표 세우기 194

‘일상의 행복’을 목표에 포함할 것 201

어려운 대화의 달인이 되자 205

몸과 마음의 건강 챙기기 210

번아웃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214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219

기나긴 커리어를 앞둔 당신에게 222



에필로그 : Joy of Missing Out 227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