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이해받는 것은 모욕이다 - 깊은 내면의 ‘나’를 만나는 게슈탈트 심리상담 (커버이미지)
알라딘
이해받는 것은 모욕이다 - 깊은 내면의 ‘나’를 만나는 게슈탈트 심리상담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정규 지음 
  • 출판사EBS BOOKS 
  • 출판일2024-01-30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관계의 심리학에서
이해의 심리학으로 이어지는 과정

독일에서 시작한 게슈탈트 심리학은 인간의 심리를 관계적 맥락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심리학으로 인간은 각자의 세상을 만들고 다른 세상을 만나는 과정을 통해 세상을 이해한다고 본다. 내가 살아가면서 만들어온 ‘나의 세상’은 맞고 틀리고가 없이 그 자체로 존재한다. 당연히 다른 이들이 만들어간 ‘너의 세상’도 맞고 틀리고가 없다. 우리는 ‘너의 세상’을 알고 싶고 다가가고 싶은 마음을 바탕으로 이해의 과정을 경험한다. 이렇듯 게슈탈트 심리학은 세포가 서로 연결돼 하나의 몸을 구성하듯 한 사람, 한 사람이 연결돼 온전한 유기체를 이룬다는 관계의 철학에서 비롯되었다. 삭막한 현대사회지만 우리는 오롯이 혼자 살아갈 수는 없다. 너와 나, 우리가 만나야 관계가 시작되고 그 관계 안에서 이해와 포용이 시작된다. 우리는 어떻게 관계를 맺고, 어떻게 함께 세계를 걸어가야 할까? 게슈탈트 심리학 안에서 그 길의 실마리를 발견해 보자.

단편적인 이해에서
순수하고도 진실된 이해로 나아가는 단계

우리가 하는 가장 흔한 불만 중 하나는 “그 누구도 내 마음을 이해하지 못해!”라는 것이다. 그런 불만 때문에 회사에서도, 가정에서도, 사회에서도 스트레스가 쌓이고 자신감은 사라지고 상처는 깊어진다. 하지만 누군가를 이해하는 게 가능한 일일까? 철학자 니체는 “이해받기란 얼마나 어려운가. 하지만 이해받는다는 것은 하나의 모욕이다”라고 말하며 잘못된 이해로 개인의 고유성과 정체성이 훼손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누군가는 이해받지 못하는 것은 근원적으로 개인의 잘못이 아니라 인간의 한계라고 했다. 그렇기에 우리는 함부로 이해를 남용하지 말고 진심으로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이다. 누군가를 이해하고 싶다면 그의 세상에 대한 순수한 관심과 다정한 애정에서 출발해 그 사람의 존재를 만나고자 하는 무한한 열정이 필요하다. 우리 내면에 잠들어 있는 신뢰와 사랑을 끌어내 이해의 관계로 한 단계 나아가보자. 동시에 이는 깊은 내면에 숨겨져 있는 나 자신을 만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이기도 하다.

존재의 파도를 따라가며 만나는
깊은 내면의 ‘본래 나’

우리는 생각이 복잡하고 부정적인 우물에 빠질 때 한없이 그 안에서 우울해하고 힘들어한다. 생각이란 정말 벗어날 수 없는 내 의지로 만들어진 것일까? 게슈탈트 심리학에서는 생각과 나를 동일시하는 것을 경계한다. 생각은 하나의 현상일 뿐 나 자신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는 생각을 멈추고 우리 내면에서 말을 걸어오는 존재의 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 그것이 ‘본래 나’다. 생각 뒤에 혹은 생각 너머에 있는 변치 않는 내 안의 존재이며 존재의 파도를 따라 만나는 거대한 바다이기도 하다. 부정적인 생각에 붙들려 괴로워하지 않는, 고요하면서도 내 존재에 집중할 수 있는, 편안하면서도 깨어 있는 ‘본래 나’를 만나는 과정을 통해 불안과 집착에서 한 걸음씩 벗어날 수 있다. 깊은 내면의 ‘본래 나’를 발견하는 것, 그것이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며 찾아가야 할 목표이며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궁극적으로 찾고자 하는 발견이며 이 책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가장 의미 있는 가치일 것이다.

저자소개

고려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했고 독일 본대학교에서 ‘임상적 관점에서 본 성격과 종교성의 상호 관련성’이란 주제로 임상심리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8년에 독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에 게슈탈트 심리상담을 처음 소개했고, 수많은 임상심리사, 상담심리사, 게슈탈트 심리상담사를 양성했다.
독일 라인주립정신병원, 독일 프리츠펄스연구소, 미국 샌디에이고게슈탈트치료연구소, 미국 L.A태평양게슈탈트치료연구소에서 게슈탈트 치료 수련을 했으며, 성신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성신여자대학교 심리건강연구소장, 《국제 게슈탈트 저널(IGJ)》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2000년에는 한국임상심리학회장을 역임했고, 2010년도에는 한국게슈탈트심리상담학회를 창립해 현재 회원이 1,000명이 넘는 학회로 성장했다. 2020년에는 사회복지 공익법인 ‘게슈탈트하일렌’을 설립해 심리상담전문가 양성과 한부모 가족상담, 자살 위기 청소년상담, 학교폭력 피해자상담, 개인상담 및 집단상담 등을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게슈탈트 심리치료》 《뉴런하우스》 《한 명의 내담자, 네 명의 상담자》가 있고, 역서로는 《알아차림, 대화 그리고 과정》 《아이들에게로 열린 창》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게슈탈트 치료와 자기 심리학의 대화〉 〈게슈탈트 치료와 종교성〉 〈게슈탈트 치료의 한국수용〉 〈게슈탈트 치료와 동학사상〉 〈게슈탈트 영성 치료의 다각적 이해〉 등이 있다.
자격으로는 독일 디플롬 임상심리학자, 미국 샌디에이고게슈탈트치료연구소 디플로마, 미국 대인간 역동 부부치료 전문가, 한국심리학회 임상심리전문가, 상담심리전문가, 한국게슈탈트심리상담학회 게슈탈트치료수련감독자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너의 세상과 나의 세상

2장 이해받는 것은 모욕이다

3장 당신의 생각에는 역사가 있다

4장 당신은 인정받기 위해 태어났나?

5장 세상에서 가장 억울한 일

6장 지도 위를 걷기

7장 감정의 두 얼굴

8장 내 안에 불청객이 있다

9장 몸은 말한다

10장 당신 안의 천사와 악마

11장 너에게 말하기

12장 존재의 대화

13장 나의 발견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