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이주영 (지은이)
- 출판사미술문화
- 출판일2018-02-05
- 등록일2020-03-24
- 파일포맷epub
- 파일크기60 M
- 지원기기
PCPHONE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안내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 태블릿, PC
책소개
“현대미학 한 권으로 끝내기”
니체의 존재론에서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까지!
BOOK & NOTE 네 번째 시리즈
BOOK & NOTE 시리즈는 책과 노트가 합쳐진 형태로 자신만의 메모와 설명을 추가할 수 있는 여유로운 공간과 함께, 적당한 길이의 텍스트와 풍부한 도판을 제공하여 최선의 이해를 추구하는 일종의 교재이다.
기존에 출간된 <미술특강>, <예술론특강>, <미학특강>에 이어 네 번째 시리즈 <현대미학 특강>은 고대에서 근대, 그리고 현대에 이르는 미학의 흐름을 정리하고 특히 오늘날의 미적 현상을 총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은 근대 이후 미학의 중심 흐름을 파악하고 각 연구방향의 특징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저자는 서양현대미학의 수용과 예술해석에 많은 영향을 준 미학자들을 선별하여 그들의 이론을 해당 강좌들을 통해 소개 및 정리하고 있다.
아름다움에 대한 탐구의 여정, <현대미학 특강>
아름다운 것은 무엇일까? 이 개념은 실재하는 것일까? 인생을 살면서 누구나 한 번쯤 던져볼 법한 질문이다. 이렇게 과거부터 이어진 미에 대한 관심은 철학사와 다양한 예술이론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미학, 그중에서도 현대미학은 학문적 영역의 다양화와 복잡함으로 인해 그 토대와 흐름이 세분화되어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서에서는 근대 이후 미학의 중심흐름을 파악하고 각 연구방향의 특징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에서 서양 현대미학을 수용하고 해석하는 데 영향을 준 미학자들을 소개하고, 이들의 이론을 소개 및 정리하고자 한다.
이 책은 총 3부로 이루어져 있다. 1부에서는 현대미학의 주요 흐름인 존재론, 생철학, 현상학, 표현론, 정신분석학 등의 방향과 기호학적 미학을 다룬다. 현대미학에서 인간과 삶을 대하는 관점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또 예술 해석에 어떤 새로운 학문적 방법이 적용되었는지를 고찰한다. 2부는 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중요시한 독일어권 미학을 다룬다. 독일어권 미학은 예술이 사회를 반영한다고 보고 예술작품 속에서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 초점을 둔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루카치, 벤야민, 아도르노 등이 있으며, 이들의 미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미메시스’에 대해 분석한다. 3부는 오늘날의 미학에서 전통적 재현관이 어떻게 해체되고 있는가를 구조주의 이후의 프랑스 미학을 통해 살펴본다. 대표적인 학자로는 푸코, 리오타르, 데리다 등이 있다. 이들은 예술의 세계가 ‘가상’으로서 고유한 실재를 이루고 있다고 보고 ‘상사’, ‘시뮬라크르’, ‘형상’, ‘생성’ 등의 개념을 통해 예술적 세계의 고유성을 참되게 드러내려고 시도한다.
저자소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와 동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하고 베를린 자유대학 철학과를 수학했다.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루카치 미학연구: 미메시스의 문제를 통해 본 예술과 현실의 관계」(1996)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홍익대 겸임교수, 서원대 전문연구교수 등을 거쳤으며, 현재 한국미학예술학회의 편집위원이자 서원인문사회미학연구소 대표다.저서로 『루카치 미학 연구』(1998), 『예술론특강』(2007), 『미학특강』(2011), 『기호학과 미학』(공저:2017)이 있다. 역서로 『루카치 미학 1』(2000), 『어떻게 이해할까? 인상주의』(2007), 『어떻게 이해할까? 바로크』(2007)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한국 근현대미술에 나타난 시각기호와 미적 가치에 대한 연구: 자연모티브를 중심으로」(2016), 「한국 극사실 회화에 나타난 시각기호와 미의식」(2015), 「한국미의 고유성 규명을 위한 비교미학적 고찰」(2014), 「미술에 적용된 서사성의 미학적 구조-80년대 한국의 비판적 리얼리즘미술을 중심으로」(2013) 외 다수가 있다.
목차
책을 내며
[1부. 현대미학의 몇 가지 주요 흐름]
제1강 존재론: 니체와 하이데거
- 프리드리히 니체
실존적·존재론적 미학 | 예술과 현실의 관계 | 아폴론형과 디오니소스형 | 비극의 탄생 | 예술의 힘: 생명력과 삶의 긍정
- 마르틴 하이데거
예술작품이란 무엇인가? | 사물과 작품 | 예술작품의 세계와 존재의 의미 | 예술작품과 진리
제2강 생철학: 베르그송, 딜타이, 짐멜
20세기 프랑스 철학의 전통
- 앙리 베르그송
생철학과 현상학의 흐름과 베르그송의 철학 | 정신의 창조적 활동으로서 직관의 미학 | 예술과 실재
- 빌헬름 딜타이
독일 생철학의 흐름 | 예술과 삶의 이해
- 게오르그 짐멜
삶과 형식 | 예술 형식과 삶의 총체성
제3강 현상학: 메를로퐁티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현상학과 미학 | ‘몸’의 철학 | 현상학적 회화론 | 메를로퐁티의 세잔론
제4강 표현론: 크로체와 콜링우드
- 베네데토 크로체
크로체 미학의 특성 | 직관이란 무엇인가? | 직관과 표현 | 직관과 감각, 예술, 내용과 형식
- 로빈 콜링우드
예술과 재현 | 예술과 표현 | 표현의 효과
제5강 정신분석학: 프로이트와 라캉
- 지그문트 프로이트
정신분석과 예술해석 |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회화에 대한 분석 | 미켈란젤로의 모세상
- 자크 라캉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의 재해석 | 주체와 재현 | 라캉의 시각예술이론 | 그림이란 무엇인가?
제6강 기호학: 퍼스, 모리스, 에코
미학의 문제와 기호학적 방법의 만남 | 소쉬르와 구조주의 언어학 | 찰스 퍼스의 기호학과 예술론 | 찰스 모리스의 행동주의 기호학과 미학 | 움베르토 에코의 기호와 현대예술
[2부. 미메시스와 현대예술론]
제7강 리얼리즘 예술론: 게오르크 루카치
미메시스론을 통해 본 예술과 현실의 관계 | 리얼리즘 예술론 | 리얼리즘 예술의 원리 | 리얼리즘의 시각에서 본 서구미술사
제8강 알레고리의 미학: 발터 벤야민
‘아우라’의 상실과 예술의 지각현상의 변화 | 언어와 ‘비감각적 유사성’ | 알레고리의 미학 | 몽타주와 알레고리 | 알레고리와 현실의 의미
제9강 부정의 미학: 테오도르 아도르노
현대사회와 예술 | 현대예술과 미메시스 | 아도르노의 음악론 | 아도르노의 미술론
[3부. 후기구조주의 미학과 재현의 해체]
제10강 후기구조주의 미학과 재현의 문제
구조주의 | 후기구조주의 | 후기구조주의 미학에서 재현의 문제 | 모방에서 시뮤라크르로 | 예술적 실재의 자율성
제11강 재현의 해체와 ‘상사’의 미학: 미셸 푸코
후기구조주의와 미셸 푸코의 미학 | 푸코의 재현관과 미술작품 해석 | 마그리트의 캘리그램과 원본 없는 복제: ‘상사’ | 재현의 해체
제12강 포스트모더니즘과 숭고의 미학: 장프랑수아 리오타르
리오타르와 포스트모더니즘 | 재현의 부정과 숭고의 미학 | 숭고의 미학사 | 숭고의 미학과 리얼리티
제13강 해체론과 미학: 자크 데리다
데리다의 해체론과 형이상학비판 | 데리다의 미메시스론 | 경제의 관점에서 본 미메시스론 | 해체론과 예술철학 | 전통적 재현관의 해체: 회화에서의 진리
제14강 새로운 실재론을 위하여: 질 들뢰즈
들뢰즈 철학의 특징과 사유 여정 | 플라톤적 모방론의 전복과 시뮬라크르 | 회화와 감각의 논리 | 영화론 | 예술의 역할
제15강 모방에서 시뮬라크르로: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와 기호의 체계 | 모방에서 시뮬라크르로 | 시뮬라시옹과 팝아트 | 이미지의 폭력 | 재현의 위기와 시뮬라크르 이론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