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리밸런싱 - 2019년 이후의 경제 충격 현황에 관하여 (커버이미지)
알라딘
리밸런싱 - 2019년 이후의 경제 충격 현황에 관하여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박홍기 (지은이) 
  • 출판사좋은땅 
  • 출판일2018-12-05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 2019~2022년까지의 경제 충격 현황을 말하다
- 허황된 성공 신화로 점철된 한국의 경제시장을 낱낱이 파헤치다
- 1998년이 국가 부도 시기라면 2019년부터는 개인부도의 시기


국가의 1%에 해당하는 20만 명이 경제적인 자원을 독점하고 있다. 이런 한국의 현실에서 진정한 민주주의 사회로의 발전은 과연 가능한 것일까? 정치와 경제가 초양극화로 치달으면서 가진 것 없는 사람들은 더욱 허덕이며 지내고 있으며 이들은 사회의 ‘신흥 금융노예’가 되고 있다. 현재 우리의 경제는 가진 것 없고 몫 없는 자들을 착취한 배부른 1%의 경제시장에서 겨우겨우 살아가고 있다.

그렇다면 1%를 제외한 ‘신흥 금융노예’로 인해 겨우 굴러가는 경제는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특히 65세 이상 인구의 절반이 빈곤층인 현실에서 ‘신흥 금융노예’의 급증은 우리에게 어떤 미래를 가져다줄 것인가? 이 경제 위기 속에서 우리가 얼마나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것인가?

미디어에서는 부동산 성공 신화 등을 이야기하며 더 많은 ‘신흥 금융노예’를 만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고 그것은 상위 1%들이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어냈다. 하지만 빚을 내어 부동산을 구매하면 추후 노후 문제는 모두 해결된다는 달콤한 유혹에 속아 넘어간 5060세대의 파산이 시작될 것이다. 상위 20% 구간에 있는 이들이 무너져 곧 다가올 전체적인 경제 붕괴 현상을 우리는 대비해야 한다.

박홍기 저자의 《리밸런싱》은 감언이설로 경제를 속여 온 이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과 함께 곧 들이닥쳐 우리의 목을 옥죌 2019년의 경제 상황을 전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기를 어떻게 돌파해야 하는지 제시하고 있다. 곧 다가올 2019년 경제 위기 속에서 살아남고 싶다면 박홍기 저자의 《리밸런싱》을 일독 권한다.

저자소개

유튜브 경제 분야 및 부동산 관련 동영상 강의를 진행 중이며 해당 분야의 1위이다. 조회수 1억 1천 600만으로 1위에 달하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개인 시청자 수는 13만 명에 육박하며 강의 카페인 ‘대동포럼’의 회원 수만 3만 5천 명이다.

현대 한국경제의 복잡계를 해석하고 진화 경제학적인 강의 해설이 특징이다.

목차

서문

Part 01 부동산 리밸런싱

1. 2018년 급변하는 부동산 및 금융시장의 계획일정

2. 리밸런싱 시대의 위기의 건설사
2.1 아파트 해외 손실을 국내에서 보충
2.2 2018년 IFRS15 시행으로 인한 건설사의 대혼란
2.3 국내 주택시장의 여력 소진
2.4 2019 건설사의 생존 방법, 애프터 리빙의 시작

3. 역전세/역월세 대란과 부동산 파란 현상
3.1 수도권의 역전세/역월세 대란
3.2 2019년 이후는 5060 부동산 파산시대

4. 2022년 전국 빈집 200만 시대의 개막
4.1 2019년 이후는 경기도 유령마을 창궐의 시대
4.2 2020년 지방 소멸 시대

5. 개인 부동산 투자 리스크
5.1 가계·부동산 부문 리스크 관리 강화
5.2 불편한 이웃과 불안한 이웃
5.3 2020년 숲세권 주택시장 시대의 개막

6. 2019년 이후 전국 아파트 가격 및 주택 가격은 어떻게 될 것인가?


Part 02 개인 금융의 위험

1. 한국 가계의 자산 구성 특성
1.1 한국 가계의 지니계수
1.2 한국 가계의 자산 구성의 위험
1.3 가계부채의 극심화와 한계가구의 특성

2. 신금융제도 적용
2.1 총체적상환능력심사제(DSR) 도입 방안
2.2 2019년 IFRS9 은행에 포획된 200만 부동산 금융노예들의 자화상
2.3 2019년 IFRS16 리스계약에 의한 신 수익 기준서
2.4 50대 은퇴세대의 금융노예화 비극

3. 신용 대출자에게는 재앙인 신금융 체제
3.1 대출 연체자들의 개인신용평가제도 변경
3.2 신용카드부채
3.3 2019년 DSR이 정착되는 시기 이후 개인 파산의 폭발적인 증가

4. 부채와 가계부채
4.1 가계부채 및 자영업부채
4.2 임대업부채
4.3 대기업이 주는 자영업부채 영향

5. 개인금융은 어디까지 왔는가


Part 03 금융기관의 혼란

1. 금융권 전체의 대혼란기와 바젤3 체제
1.1 바젤3의 도입과 금융기관의 혼란
1.2 바젤3 도입 IFRS9 회계측정 변화
1.3 국내 주요 은행의 D-SIB 규제
1.4 IFRS9이 국내 은행에 미치는 영향

2. 한국의 바젤 시스템 도입 과정
2.1 바젤1의 도입
2.2 바젤2의 도입과 바젤3로의 이행

3. 은행금융의 위기
3.1 은행의 자산건전성
3.2 은행의 기업대출
3.3 2018년 이후 IFRS9으로 인한 5060세대의 파산이 은행에 미치는 영향
3.4 상호저축 은행의 부실화

4. 보험금융
4.1 IFRS17 KICS 시행이 보험사에 미치는 영향
4.2 선진국의 사례를 고려한 국내 혼란 예측
4.3 위기를 앞둔 국내 보험사의 배당 잔치


Part 04 기업과 경제 여파

1. 기업과 내수시장의 여파
1.1 2012년 이후 내수 불황형 수출구조
1.2 2019~2022년 충격적인 최악의 실업
1.3 다가오는 유가 상승으로 인한 물가 상승 대란

2. 기업에 적용되는 바젤3 시스템의 여파
2.1 IFRS15 계약 반영으로 건설-조선업 후폭풍 분다
2.2 2018년 IFRS9의 도입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2.3 2019년 IFRS16 도입의 영향

3. 리밸런싱에 대한 조언

용어 설명
참고 자료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