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한국 국제관계사 연구 2 - 역비 한국학 연구총서 10 (커버이미지)
웅진OPMS
한국 국제관계사 연구 2 - 역비 한국학 연구총서 10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구대열 
  • 출판사역사비평사 
  • 출판일1997-03-01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정치적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있는 이 연구는, 해방과 분단의 씨앗을 주로 한국문제의 연속성이라는 측면에서 규명하고 있다. 이 연속성이라는 문제를 미국 등 열강들의 동아시아, 한국정책이 갖는 역사성과 한계성을 비롯하여, 강대국이 지배하는 국제정치의 속성, 서구의 국제정치에서 상호 인정하는 외교관행, 구체적으로 미·영·소 3국이 전후 세계질서 재편에 임하는 정책과 연결하여 살펴보고 있다.

저자소개

- 경남 고성 출생(1945) - 서울대학교 문리대 영문과 졸업(1968.2) - 한국일보 기자(1968.7~1973.9) - 런던대 SOAS에서 동아시아 지역연구 MA(1974.12) - London School of Economics에서 외교사 Ph.D.(1980.1) - 외교안보연구원 교수(1981.6~1983.2) - 이화여대 정외과 교수(1983.3~현재) - Georgetown Univ. Fulbright 교환교수(1992.9~1993.8) 저서:『Korea under Colonialism : The March First Movement and Anglo-Japanese Relations(Seoul : Royal Asiatic Society-KB, 1985),『제국주의와 언론 - 배설ㆍ대한매일신보 및 한ㆍ영ㆍ일 관계』(서울 : 이화여대출판부, 1986) 역서:『현대국제정치이론』(Robert Lieber, Theory and World Politics, 서울 : 학문과사상사, 1987),『한반도의 분단과 미국』(James I. Matray, The Reluctant Crusade, 서울 : 을유문화사, 1989)

목차

일러두기 제1장 해방과 분단에 대한 기존 해석상의 문제점 제2장 미국의 한국정책 : 독립 및 임정 승인 문제 제3장 중국의 한국정책 : 강대국의 지위 회복과 한국문제 제4장 영국의 한국정책 : 제국 복귀와 한국문제 제5장 소련과 한번도 : 소련의 한국문제 개입에 대한 재평가 제6장 신탁통치에 대한 재평가 에필로그 및 결론 총결론 참고문헌 및 해설 찾아보기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