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인도의 사상과 문화 (커버이미지)
웅진OPMS
인도의 사상과 문화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문을식 
  • 출판사여래 
  • 출판일2001-03-12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인도철학 전공자인 저자가 인도의 역사, 문화 그리고 사상을 한 권으로 정리한 책. 전체 4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 1장은 인도의 자연환경과 인종, 그리고 언어 등 인도를 이해하기 위해 기본 전제가 되는 사항들을, 2장은 인도의 역사를 문화사적 측면에서 소개한다. 이어 인도의 사상을 다룬 3장에서는 베다, 우파니샤드, 인두교의 6파 철학, 근현대 철학자 등 중요 사상만을 간추려 보여준다. 마지막 4장은 인도의 종교에 대해 다뤘다. 그러나 다양한 종교들을 모두 다룬 것은 아니고, '힌두교는 종교적 개념으로 보면 종교가 아니고 인도문화 자체라고 할 수 있으므로 힌두교의 이해 없이는 인도문화의 사상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저자의 말대로, 힌두교'에 한정시켜 인도의 종교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부록으로 참고문헌과 색인, 인도문화사 연표를 수록했다.

저자소개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교와 선문대학교 등에서 '인도의 사상과 문화'와 관련된 것들을 강의하고 있다. 번역서로는 [힌두교 입문], [인도철학의 자아사상]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가우다빠다의 불생설과 용수의 중도설'(박사학위 논문), '마야설의 불이일원론적 이해' 등 다수가 있다.

목차

◐ 서문 제1장 인도와 인도인 1. 지리 2. 기후 3. 주민과 언어 1) 주민 2) 언어 제2장 인도의 역사 1. 인더스 문명 2. 아리아 족의 인도 이주와 베다 문화 1) 아리아 족의 인도 이주 2) 베다 시대의 문화와 사회생활 3) 전기 베다 시대의 사회제도 4) 후기 베다 시대 3. 새로운 사상과 종교의 발생 1) 새로운 문화로의 움직임 2) 새로운 사상의 대두 3) 반브라흐마니즘의 사회와 사상 출현 4) 불교 성립 당시의 사회체제 4. 마우리야 왕조와 아쇼까 왕 1) 마우리야 왕조 이전 시대와 알렉산더 왕의 인도 침입 2) 미우리야 왕조와 아쇼까 왕 5. 꾸샤나 왕조와 불교 문화 1) 그리스 세력의 인도 진출과 메난드로스 왕 2) 꾸샤나 왕조 3) 꾸샤나 왕조의 포용적 성격과 동서문화의 융합 4) 간다라 미술 5) 동서 무역과 상업사회의 번영 6) 불교문화와 대승불교 발생 7) 힌두교의 탄생 6. 굽따 시대와 힌두 문화 1) 굽따 왕조 2) 독립하는 지방 왕조 3) 힌두 사회의 확립 4) 굽따 시대의 문학과 예술 5) 굽따 시대의 학문과 종교 6) 힌두교의 흥성과 인도문화의 동남아시아 전파 7) 굽따 시대의 불교 7. 남부인도와 힌두교 1) 샤따와하나 왕조 2) 익슈와꾸 왕조 3) 그 이후의 남인도 왕국들 4) 남인도의 문화 8. 무슬림의 인도 침략과 이슬람 왕국들 1) 무슬림의 인도 침략 2) 슐탄과 뚜그흐락 왕조 3) 힌두 문화와 이슬람 문화의 융합 4) 남인도의 위자야나가라 왕조와 서구열강의 인도 침탈 9. 무갈 제국과 문화 1) 무갈 제국의 탄생 2) 무갈 제국의 융성과 샤 자한 3) 아우랑제브의 힌두교 탄압 4) 아우랑제브와 마라타 힌두 세력의 대립, 그리고 시크교의 흥기 5) 무갈 제국의 문화 10. 인도에서 유럽의 각축과 영국의 인도 지배 1) 영국의 인도진출과 동인도 회사 2) 쁠랏시 전투와 인도의 식민지 지배 3) 영국에 대한 인도인의 저항운동 4) 세포이의 저항운동 5) 종교사회 개혁운동과 민족주의 운동 11. 인도의 독립과 그 이후의 인도 1) 인도의 독립운동 2) 독립인도 3) 독립 이후의 인도 제3장 인도 사상 1. 인도 사상의 특징 2. 인도철학 사상의 분류 1) 인도철학 사상의 시대적 구분 3. 베다의 종교와 사상 1) 리그 베다의 종교와 철학 2) 브라흐마나의 제사종교와 철학 4. 우빠니샤드 사상 1) 우빠니샤드의 종류와 철학사상 5. 힌두의 6파 철학 1) 상끼야 학파의 사상 2) 요가 학파의 사상 3) 니야야 학파의 사상 4) 와이쉐시까 학파의 사상 5) 미망사 학파의 사상 6) 베단따 학파의 사상 6. 인도의 근 · 현대사상 1) 람 모한 로이의 사상 2) 라마끄리슈나의 사상 3) 오로빈도의 사상 4) 타고르의 사상 5) 간디의 사상 6) 라다끄리쉬난의 사상 제4장 인두교 1. 힌두교의 의미와 연원 1) 힌두교의 의미 2) 힌두교의 연원과 범위 2. 힌두교의 성격과 특성 1) 힌두교의 성격 2) 힌두교의 특성 3. 힌두교의 성전 1) 마하바라따 2) 라마야나 3) 바가와드 기따 4) 뿌라나 5) 딴뜨라, 아가마 그리고 상히따 4. 힌두교와 카스트 제도 1) 카스트와 바르나의 의미 2) 카스트와 바르나의 관계 3) 카스트 제도의 특색 4) 카스트와 부정관념 5) 카스트 질서 6) 불가촉천민 5. 종교 생활 1) 가정에서 종교생활 2) 힌두의 가족제도 3) 여성의 지위 4) 가정에서의 제사 6. 힌두교의 신들 1) 삼신일체관 2) 비슈누 신 3) 비슈누의 화신사상 4) 쉬바 신 5) 배우자신 6) 지방신과 비슈누 · 쉬바의 관계 7. 힌두 사원 1) 사원과 사당 2) 사원에서 제사 3) 사원과 가정의 제사 8. 힌두교의 성지와 축제 1) 힌두교 성지 2) 힌두교 축제 9. 힌두의 생활과 사상의 일치 1) 인생의 네 주기 2) 인생의 네 가지 목적 3) 인생의 통과의례 4) 힌두의 다르마 10. 힌두교의 기본 사상 1) 업과 윤회 2) 해탈의 길 ■ 부록 ◐ 참고문헌 ◐ 인도문화사 연표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