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청춘아, 힘을 내라 - 최남선의 계몽 논설 (커버이미지)
웅진OPMS
청춘아, 힘을 내라 - 최남선의 계몽 논설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최남선 
  • 출판사이펍코리아 
  • 출판일2011-09-26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은 서양 문화가 본격적으로 수입되던 20세기 전반기의 대표적인 지식인이었다. 갓 30의 젊은 나이에 온 민족의 대표로 3ㆍ1 독립선언문을 기초할 정도로 일찍부터 식민지 조선의 지식계를 주도했다. 30대 이후 역사와 민속학 연구로 방향을 틀고 결국 일제에 협력하면서 일그러진 지식인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남았지만, 그는 독립선언문을 기초해 옥살이를 한 데서 드러나듯이 20대 이전에는 나라의 장래를 걱정하는 열혈 청년이었다. 그는 지식인으로서의 사명감에 불타 열아홉 살에 잡지 《소년(少年)》을, 스물다섯 살에 잡지 《청춘(靑春)》을 창간하는 등 청년 계몽 운동에 매진했다. 20대 때의 이런 최남선의 모습은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ㆍ민속학 연구자 최남선이나 친일파 최남선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이 책은 그의 이런 면모를 엿볼 수 있는 《청춘》 시절의 논설 네 편을 모은 것이다. 원문은 1910년대에 발표돼 난해한 한자어로 도배된 것들이라 요즘 사람들이 도저히 읽을 수 없어 부득이 ‘번역’을 했다. 이 책을 통해 그동안 주목하지 못했던 최남선의 새로운 모습을 만날 수 있을 것이며, 아울러 그의 강개 어린 목소리는 지금의 청년들에게도 울림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저자소개

최남선은 1890년 서울의 유복한 중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1904년 황실 유학생으로 일본에 갔다가 금세 돌아왔고, 1906년 다시 일본으로 가 와세다(早稻田)대학 역사지리과에 입학했으나 역시 몇 달 만에 동맹 퇴학했다. 1908년 귀국해 《소년》을 창간하고 최초의 신체시 ‘해(海)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는 등 이 잡지를 거점으로 활발한 저작 활동을 벌였다. 《소년》이 폐간된 뒤에도 몇 개의 잡지를 창간했고 1914년 《청춘》을 창간하는 등 출판 활동을 계속했다.

1919년 기미독립선언문을 기초해 잠시 옥고를 치른 뒤 출옥해 출판 활동을 재개했으나 곧 이를 접고 역사 연구에 주력했다. 1928년 조선사편수회 위원으로 일제에 협력하기 시작해 1938년 중추원 참의 등을 지내며 본격적인 친일의 길을 걸었다. 광복 후 반민족행위자로 기소되었으나 병보석으로 풀려났고, 1957년 뇌일혈로 사망했다.

저서로는 시조집 《백팔번뇌》와 역사ㆍ민속학서 《단군론》, 《조선 역사》, 《고사통》, 《조선상식문답》 등이 있고, 《백두산 근참기》, 《금강 예찬》, 《심춘순례》 등의 기행문도 유명하다.

목차

1. 청춘아, 이런 쾌락을 추구하라
2. 청춘아, 이런 돈을 찾아라
3. 청춘아, 이런 용기를 지녀라
4. 청춘아, 이런 노력을 하라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