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특허 빅데이터 DNA (커버이미지)
웅진OPMS
특허 빅데이터 DNA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지은 , 정부용 , 김대중 
  • 출판사끌리는책 
  • 출판일2020-04-06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특허 빅데이터, 글로벌 기업의 경영전략을 바꾼다!
특허 빅데이터의 탄생과 역사,
특허 네트워크 분석과 시각화,
특허 빅데이터를 통해 기업의 혁신전략을 엿보다!

특허 경영의 시대?
2011년부터 7년 동안이나 계속된 애플과 삼성의 스마트폰 디자인 및 특허 침해 소송은 제1차 소송에 이어, 제2차 소송까지 전 세계 기업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2018년, 미국 등록 특허가 1천만 건을 돌파했다. 1790년 7월 31일 제1호 등록특허 이후, 228년 만의 일이다. 최근 30년(1988~2016) 동안 발행된 특허공보가 그 이전 150년 동안의 총합에 이른 것으로 보면 앞으로 등록 특허 수는 더욱 더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에서 특허 제도가 도입된 지 230여 년, 전 세계적으로 1년에 약 3백만 건이 출원되고 있다.
이 책은 특허에 대한 일반적인 소개서가 아니다. 산업 디자이너, 변리사, 기술경영 전문가가 쓴 특허에 관한 통계, 분석, 그리고 활용에 대한 연구 결과물이다. 3인의 전문가는 특허의 탄생과 역사, 특허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가치를 가지는지,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도구(Tool)는 무엇이 있는지, 분석 도구 각각의 장단점과 시각화 분석 시 중점적으로 살펴보아야 할 것에 대해 다루고 있다. 또한 특허 빅데이터를 통해 주요 글로벌 기업들의 특허 관리 전략과 미래 주력 상품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까지 언급하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 김지은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이다. KAIST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Arts et Metiers ParisTech에서 감성공학으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영국왕립예술대학 Leverhulme Research Fellow로 재직하였다. 디자인기술경영, 기술-디자인 융합방법론, IP분석기반 디자인전략 관련 산학 및 연구 활동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저자 : 정부용
대한민국 변리사이며, 특허청 상표디자인심사국 사무관으로 재직하고 있다. KAIST 산업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핸드헬드 기기에서 두 손 조작을 통한 포인팅과 문자입력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3년 ㈜팀인터페이스(TeamInterface)에서 UI 디자이너로, 2010년부터 특허법인 플러스에서 기계분야 변리사로 활동하였다.
주요 공동저서로 「Design Rights. Functionality and Scope of Protection」(edited by Christopher V. Carani, 김지훈, 정부용 외, Wolters Kluwer, 2017)이 있다.

저자 : 김대중
한양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치고, 동 대학 박사과정으로 ‘디자인주도혁신 vs 기술주도혁신에 대한 IP기반 정량적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 실적으로 「디자인-기술인용 특허정보를 활용한 애플사의 디자인권 전략도출」(지식재산연구, 2017)이 있으며, 빅데이터 기반 시각화 및 네트워크 분석 강의와 컨설팅 활동을 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Data: 특허 빅데이터의 탄생

1장 왜 특허 빅데이터에 주목하는가
230년 축적의 시간
특허, 살아있는 생명체
오픈 데이터로서 특허의 가치

2장 특허 빅데이터 다큐멘터리
1836, 특허청구범위Claim가 포함된 특허공보
1790, 미국 특허제도의 시작
다시 1836, 미국 특허청 대화재와 특허 넘버링
1947, 미국 특허 인용문헌의 기록
1946, 한국의 특허 제도와 오픈 데이터

3장 데이터로서 특허공보 이해하기
특허공보는 무엇인가
복잡해 보이는 특허공보 쉽게 읽기
애플 특허소송은 드릴 비트의 나비효과?
디자인과 상표는 특허와 어떻게 다른가
청구항, “Legally, Less is More!”

Network: 특허 네트워크 분석과 시각화
크 분석과 시각화
4장 특허 빅데이터 분석시대의 서막
최적의 시각화 도구를 찾아서
뜻밖의 만남, Microsoft Livelabs Pivot
분석의 속도에 ‘속도’를 더하다
타임라인Timeline과 파노라믹 뷰포인트Panoramic Viewpoint

5장 데이터 차원에 따른 시각화
데이터를 바라보는 방식 I: 1차원
데이터를 바라보는 방식 II: 2차원
관계성 특허 데이터 시각화: 네트워크

6장 특허 네트워크에서 숨은 의미 찾기
축적Stack되고 연결Link되는 인용정보의 가치
집중적이고 밀도 높은 분석: 애플 디자인특허의 인용 네트워크
데이터의 흐름, 인용정보의 시각화
기업 인수합병M&A과 특허 매입의 네트워크
게피Gephi로 특허 네트워크를 현상現像하다

7장 게피, 특허 네트워크를 그리다
데이터 수집에서 네트워크 시각화까지 4단계 실전 분석
네트워크 시각화 도구 활용하기

Analytics & AI: 특허 빅데이터로 풀어낸 혁신전략 사례

8장 혁신제품 개발과 예측
다이슨Dyson, 제품개발 영감은 어디서 왔을까?
사운드 기술의 강자 보스BOSE가 만드는 인덕션은?
어도비Adobe의 디자인기업 M&A를 통한 혁신 창출

9장 경쟁기업의 차별화된 혁신 활동
구글과 애플의 혁신 활동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애플 혁신조직의 성장판: KENEDICT의 발명자 네트워크
삼성전자와 LG전자, 비슷하면서 다른 제품 라인업 전략

10장 특허 빅데이터, 인공지능의 날개를 달다
인공지능의 첫 번째 스파링 상대는 상표?
네이밍 매터스Naming Matters, 상표 검색의 민주화
심판·소송 분야의 인공지능 르네상스
세계지식재산기구와 특허청의 인공지능 프로젝트

맺는 말
미주 & 참고도서
감사의 글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