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바람처럼 까마귀처럼 : 제주 4·3 50주년 기념시선집 (커버이미지)
북레일
바람처럼 까마귀처럼 : 제주 4·3 50주년 기념시선집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제주작가회의 
  • 출판사실천문학사 
  • 출판일2006-08-21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1948년 4월 3일 제주도민들은 남한 단독선거에 반대하고 미군정 및 극우세력의 탄압에 항의하는 봉기를 일으켰다. 이 사건으로 당시 27만 제주도민 중에 3만여 명의 희생자를 내었고 130여 개의 마을이 방화 소각되었으며, 10만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여 4·3은 한국전쟁을 제외한 현대사의 최대의 비극으로 남아 있다.

4·3의 역사적 진실을 시적 진실의 차원으로 끌어올리는 데 힘쓴 이 시선집에 수록된 66편의 시들은 4·3을 ‘수난’의 시각에서 다루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 ‘수난’은 마을 전체의 수난과 개인의 수난을 포괄하고 있고 어김없이 이야기 구조를 동반하고 있으며 역사성과 사회성을 함께 드러내고 있다.



이 시선집은 결코 비켜갈 수 없는 우리 역사의 비극인 4·3항쟁을 주제로, 문충성 등 16명의 제주 토박이시인들의 시들을 한데 모은 것이다. “분단모순이 첨예하게 대립된 해방 직후의 정치적 격변기에 국토의 끝, 제주도에서 발생한 한국전쟁에 버금가는 살육의 아비규환과 비인간적 대량학살에 대해 우리는 문학이 갖는 역사적 책임과 작가적 양심으로 4·3 당시 자행된 양민학살의 참혹상을 고발함과 동시에, 그 역사적 후유증이 제주도민의 삶에 어떠한 의미로 남아 있는지에 관심을 갖고 이 시선집을 묶는다”고 시선집의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4ㆍ3은 아직도 우리들이 치유하고 극복해야 할 커다란 상처임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이다.

저자소개

NULL

목차

문충성 4月祭 1 4月祭 2 4月祭 3 4月祭 4 현안식 잊지는 말라 민오름에 올라 4ㆍ3의 배반 48년 세월 슬픈 섬 고정국 제주 민들레 1 제주 민들레 2 제주 민들레 3 제주 민들레 4 민들레 씨앗 그 후 문무병 질치기 넋은 넋반에 담고, 혼은 혼반에 저승 상마을로 도올리저 헙네다 나기철 들판의 동백꽃 묶인 땅의 노래 遮 斷 김순남 바람으로 오는 어떤 神話 시들지 않는 꽃 돌 담 구린굴을 가면 노천에서 죽어간 사람들 김광렬 始原 그리운 4월 대숲에서 그대는 살아 있다 그대에게 보내는 詩 허영선 무밭을 지나며 1993년 오월, 고 할머니 호미로 그 눈물을 누르고 싶다 안개벌 지나며 지금은 유채꽃 필 때 김규중 기침 소리 헛 묘 원동 마을 1 원동 마을 2 수평선 2 김석교 숭부기꽃 1949년, 성산포의 기억 사월의 뜻 넋 달래려다 그대는 넋 놓고 기다림의 詩 치 통 홍성운 동굴의 꿈 고소리 화산도 뻐꾸기 제주 춘란 부록 마을엔 겨울이 빨리 온다 김수열 조천 할망 입 산 한아름 들꽃으로 살아 억 새 꽃 진 자리 진순효 4月, 고사리를 꺾으며 한라산 강덕환 질토래비 오 름 山心이 딸 유 언 관도 없이 묻은 사연 오승국 복수초 환장할 복수초 용강 마을에서 키 커서 죽었고 키 작아 살아났네 죽었다가 살았다가 또 죽었네 김홍철 4月 상황 1, 1967년 상황 2, 1968년 머리말 해설 / 김병택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