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설화문학총서 4] 사립문 앞에서 친구를 맞아오네 (커버이미지)
북레일
[설화문학총서 4] 사립문 앞에서 친구를 맞아오네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동주 
  • 출판사전통문화연구회 
  • 출판일2014-12-18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우리의 고전문학 중 설화문학은 우리 문학의 뿌리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이에 대한 연구와 정리가 미흡하여 일반적으로 야담이라 일컬어지며 저속한 읽을거리로만 인식되어 왔었다.



이에 중견 한학자 김동주 선생은 전래되고 있는 거의 모든 문헌설화 작품을 오랫동안 섭렵하여 오던 차에 고전 정리와 현대적인 번역의 필요성을 절감하여 그 중 일부를 엄선, 편역하여 각고의 노력 끝에 <설화문학총서>를 간행하게 되었다.



본 총서는 청소년들에게는 우리의 고전문학 작품에의 접근과 재미있는 이야기를 통한 한문 독해력 신장의 계기를 마련하고 노장층에게는 저속한 읽을거리로만 생각해왔던 종전의 인식을 불식시키고 설화문학의 진면목을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에서 간행되었다. 부차적으로 잊혀져가는 우리말과 역사상의 제도와 용어 및 고사 등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계기도 될 것이다.



이 책은 문헌설화의 각종 자료를 조사 검토하여 문학적 가치가 있고 내용이 비교적 충실한 작품을 선정하여 애정ㆍ우정ㆍ우애ㆍ충효ㆍ적선보은ㆍ일화 등 주제별로 10책 계획으로 분류 번역하였다. <본문 중에서>

저자소개

1942년 전북 임실 삼계 출생. 강재 이기완 선생과 추연 권용현 선생에게 수학. 국사편찬위원회 교서실 근무.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수료. 민족문화추진회 전문위원ㆍ국역위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전문위원. 전통문화연구회 국역위원(현)



논저 및 역서 : <磻溪遺集의 復元에 대하여> 《설화문학총서》 《금강산유람기》 《달마대사의 건강비법》 《高麗名臣傳》 《城南金石文大觀》 《東國李相國集(白雲小說)》 《靑莊館全書(士小節)》 《林下筆記(7ㆍ8)》 등 다수

목차

1. 관(棺) 속의 열쇠 하나<br /><br />2. 세 친구의 꿈<br /><br />3. 양반과 평민의 우정<br /><br />4. 배신자와 명판관(名判官)<br /><br />5. 당황 중에 버려진 신 한 짝<br /><br />6. 한밤에 시험한 우정<br /><br />7. 임금님도 이[蝨]가 있을까<br /><br />8. 아름다우니 어떻게 하고 싶소?<br /><br />9. 멍석 위의 시(詩) 공부<br /><br />10. 수박씨 씹던 날을 기억하여<br /><br />11. 마마귀신[痘神] 친구의 우정<br /><br />12. 칭병(稱病)과 난세(亂世)<br /><br />13. 사생지교(死生之交)<br /><br />14. 조문 길에 산적(山賊)이 된 선비<br /><br />15. 장님이 본 사주관상<br /><br />16. 가난뱅이의 저승 나들이<br /><br />17. 차작차필(借作借筆)과 빌린 제문(祭文)<br /><br />18. 사또와 무변의 평교(平交)<br /><br />19. 금주령(禁酒令)과 곤장 3백 대<br /><br />20. 영남 거부(巨富)와 양산박 무리<br /><br />21. 마상별곡(馬上別曲)<br /><br />22. 나주 기생과 두 친구의 내기<br /><br />23. 안주 없는 술 석 잔의 절교<br /><br />24. 상진(尙震)의 칠순통(七純通)<br /><br />25. 자라탕과 세 친구<br /><br />26. 구봉(龜峯)과 율곡(栗谷)<br /><br />27. 잔칫집의 낯선 손님<br /><br />28. 오성(鰲城)과 한음(漢陰)<br /><br />29. 귀신도 물러서게 한 오성대감<br /><br />30. 남이신(南以信)과 임형리(任刑吏)<br /><br />31. 이정귀(李廷龜)와 민형남(閔馨男)<br /><br />32. 이정귀(李廷龜)의 북경 조반<br /><br />33. 월사(月沙)와 거지 친구<br /><br />34. 이완(李浣)과 적괴(賊魁)의 형제결의<br /><br />35. 밀실 속의 관상<br /><br />36. 이상진(李尙眞)과 전동홀(田東屹)<br /><br />37. 세 친구의 우정<br /><br />38. 조태채(趙泰采)와 이상태(李尙泰)<br /><br />39. 친구 찾아 우정 논한 조현명(趙顯命)<br /><br />40. 임금이 경쟁케 한 춘정(春情)<br /><br />41. 친구의 조언<br /><br />42. 형의 구습을 고친 아우<br /><br />43. 양반 감동시킨 천민의 우애<br /><br />44. 세 가지 어려운 일 극복한 조삼난(趙三難)<br /><br />45. 3형제의 10년 약속<br /><br />설화문학총서 4 原文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