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한자한문 교육총서 1] 한자교육신강 (커버이미지)
북레일
[한자한문 교육총서 1] 한자교육신강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한자교육활성화추진회 
  • 출판사전통문화연구회 
  • 출판일2014-12-18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이번에 사단법인 전통문화연구회에서 ‘한자교육신강’이란 제목으로 한자교육개론을 펴낸다. 이 책은 제 1장 한자교육의 필요성, 제 2장 한자교육의 지도법, 제 3장 한자현장교육연구의 이론과 실제, 제 4장 한자교육의 사적(史的) 고찰과 평가, 제 5장 한자교육연구의 5장으로 나누어 필자들이 그동안 발표한 글을 모아 엮었다.



이것이 한자교육학개설로서 필요한 모든 것을 수용했다고는 할 수 없으나, 1970년 한글 전용 교육정책으로 금기시했던 이 방면의 연구의 일반(一斑)을 짐작하고, 현시점에서 한자 지도의 이론과 실제면에 걸쳐 그 전모를 가늠할 수 있으리라 여겨 현장 교육자료로 제공하는 바이다.



왜 한자를 가르쳐야 하는가? 어떤 한자를 얼마나 가르쳐야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교사들은 여러 가지 어려운 학교 환경 탓으로, 한자를 꼭 가르쳐야 한다는 한자교육의 의식화와 한자교육의 지도방법을 현대 학습방법에 알맞게 가르칠 수 있도록 연구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한자교육의 긴요성에 비추어 이러한 한자교육의 새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이론적 실제적 방안이 모색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한자교육의 문제점을 조금이나마 해결해 보고자 한자한문교육을 전공한 교수와 현장교사들의 이론과 실제를 모아 이 책을 펴내는 것이다. <본문 중에서>

저자소개

NULL

목차

●제1장 漢字敎育의 必要性<br /><br />1. 왜 漢字敎育을 하여야 하는가 <br /><br /><br /><br />2. 국어 敎育과 漢字 교육 <br /><br />1) 漢字와 우리 文化 <br /><br />2) 訓民正音의 性格 <br /><br />3) 국어 辭典 語彙와 漢字語 <br /><br />4) 漢字의 敎育 <br /><br /><br /><br />3. 한글과 文盲退治의 限界 <br /><br />1) 文盲과 文解者 <br /><br />2) 世宗大王의 訓民正音 창제 精神 <br /><br />3) 한글과 文盲退治의 限界 <br /><br /><br /><br />4. 한국은 文字의 最理想國 <br /><br />1) 문자의 발달과 類型 <br /><br />2) 表意文字와 表音文字의 長短點 <br /><br />3) 韓國語의 특수 구조 <br /><br />4) 漢字에 대한 새로운 인식 <br /><br />5) 확고한 文字政策의 樹立 <br /><br /><br /><br /><br /><br />●제2장 漢字의 指導法<br /><br />1. 漢字指導의 三段階 戰略 <br /><br />1) 訓音段階 <br /><br />2) 造語段階 <br /><br />3) 適用段階 <br /><br /><br /><br />2. 漢字의 筆順指導 <br /><br />1) 필순의 대원칙 <br /><br />2) 필순의 원칙 <br /><br />3) 部首字의 筆順 <br /><br /><br /><br />3. 資料活用을 通한 漢字指導 <br /><br />1) 카드 活用 <br /><br />2) 융판 資料 活用 <br /><br />3) 융판 자료를 활용한 漢字語 지도법 <br /><br />4) 視聽覺 資料 활용 <br /><br />5) 컴퓨터 활용 <br /><br /><br /><br />4. 漢字指導와 敎育課程 <br /><br />1) 漢字指導의 性格 <br /><br />2) 漢字指導의 原理 <br /><br />3) 漢字 敎育課程 <br /><br /><br /><br />5. 日本의 漢字 및 漢字語 指導 <br /><br />1) 小學校 各學年의 目標 및 內容 <br /><br />2) 小學校 各學年의 指導要領 <br /><br />3) 提言 <br /><br /><br /><br /><br /><br />●제3장 漢字 現場敎育硏究의 理論과 實際<br /><br />1. 漢字 現場敎育硏究의 理論 <br /><br />1) 漢字의 現場敎育 硏究 <br /><br />2) 漢文科 現場敎育 硏究方法 <br /><br />3) 漢字 現場敎育 硏究過程과 方法 <br /><br />4) 漢字 硏究報告書의 작성 <br /><br /><br /><br />2. 漢字 現場敎育硏究의 實際 <br /><br />1) 漢字學習의 硏究 <br /><br />2) 漢字와 漢字語 學習의 硏究 <br /><br /><br /><br />●제4장 漢字敎育의 史的 考察과 評價<br /><br />1. 初等 漢字敎育課程의 變遷과 敎科書 <br /><br />1) 初等 漢字敎育課程의 意義 <br /><br />2) 各 敎育課程期別 初等 漢字敎育 <br /><br />3) 各 敎育課程期別 初等漢字 敎科書 <br /><br />4) 第6次 初等 漢字 敎育課程 <br /><br /><br /><br />2. 初等 漢字 敎育 評價 <br /><br />1) 初等 漢字 敎育의 現況 <br /><br />2) 종래 初等學校 漢字 敎育과 評價 <br /><br />3) 初等漢字敎育課程 評價 項目 檢討 <br /><br />4) 初等 漢字 評價의 實際 <br /><br />5) 初等 漢字의 評價方向 <br /><br /><br /><br /><br /><br />●제5장 漢字敎材 硏究<br /><br />1. 朝鮮時代 漢字 ·漢文敎材 <br /><br />1) 文字 敎育用 敎材 <br /><br />2) 德性 敎育用 敎材 <br /><br /><br /><br />2. 初等學校 漢字敎材 <br /><br />1) 敎材構成의 基礎 <br /><br />2) 敎材 構成의 特徵 <br /><br /><br /><br />3. 初等學校 敎育用 基礎漢字의 選定과 標準訓音 <br /><br />1) 槪觀 <br /><br />2) 初等學校 敎育用 基礎漢字 選定 <br /><br />3) 初等學校 敎育用 基礎漢字의 標準訓音 設定 <br /><br />4) 初等學校 敎育用 基礎漢字의 選定과 標準訓音 <br /><br /><br /><br /><br /><br />●附錄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