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조선상고사 - 우리나라 상고시대의 새로운 역사서 : 한국인이 꼭 읽어야 할 한국 고전 및 사상 100선 98 (커버이미지)
우리전자책
조선상고사 - 우리나라 상고시대의 새로운 역사서 : 한국인이 꼭 읽어야 할 한국 고전 및 사상 100선 98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신채호 
  • 출판사"두산동아" 
  • 출판일2010-04-19 
보유 5,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제1편 총론제2편 수두 시대제3편 삼조선三朝鮮의 분립 시대제4편 열국 쟁웅爭雄 시대대對 한족漢族 격전시대제5편一 고구려의 전성시대제5편二 고구려의 중쇠中衰와 북부여의 멸망제6편 고구려 ? 백제 양국의 충돌제7편 남방 제국의 대對 고구려 공수동맹제8편 삼국 혈전血戰의 시작제9편 고구려의 대對 수隋 전쟁제10편 고구려의 대對 당唐 전쟁제11편 백제의 강성과 신라의 음모

저자소개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사학자. 1880년 12월 8일 충청남도에서 태어나, 1897년 성균관에 들어가 1905년 성균관 박사가 되었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황성신문》에 논설을 쓰기 시작했고,《대한매일신보》의 주필로 활약했다. 1907년에는 신민회와 국채보상운동 등에 참가했다. 1910년 4월 중국 칭다오로 망명, 그곳에서 안창호, 이갑 등과 독립운동 방안을 협의했다. 그리고 블라디보스토크로 건너가 《권업신문》에서 활동했고, 1914년 이 신문이 강제 폐간되자, 남북 만주와 백두산 등 한국 민족의 고대 활동 무대를 답사했다. 1915년 상하이로 가서 신한청년회 조직에 참가하고, 박달학원의 설립과 운영에도 힘썼다. 1919년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가, 의정원 의원, 전원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나, 한성임정 정통론과 이승만 배척운동을 내세워 사퇴하였다. 그 후 비밀결사 대동청년단 단장, 신대한청년동맹 부단주 등을 지냈다. 1923년 임시정부 창조파의 주동 역할을 하다가, 다시 베이징으로 쫓겨가 다물단을 조직했으며, 중국과 본국의 신문에 논설과 역사논문을 발표하였다. 1928년 일경에게 체포되어 대련 감옥에 수감되었고, 1936년 옥사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저서로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 《조선사연구초》, 《조선사론》, 《이탈리아 건국삼걸전》, 《을지문덕전》, 《이순신전》, 《동국거걸최도통전》 등이 있다.

목차

제1편 총론제2편 수두 시대제3편 삼조선三朝鮮의 분립 시대제4편 열국 쟁웅爭雄 시대대對 한족漢族 격전시대제5편一 고구려의 전성시대제5편二 고구려의 중쇠中衰와 북부여의 멸망제6편 고구려 ? 백제 양국의 충돌제7편 남방 제국의 대對 고구려 공수동맹제8편 삼국 혈전血戰의 시작제9편 고구려의 대對 수隋 전쟁제10편 고구려의 대對 당唐 전쟁제11편 백제의 강성과 신라의 음모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