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대승기신론소 - 해동종 불교 철학의 기본원리 : 한국인이 꼭 읽어야 할 한국 고전 및 사상 100선 52 (커버이미지)
우리전자책
대승기신론소 - 해동종 불교 철학의 기본원리 : 한국인이 꼭 읽어야 할 한국 고전 및 사상 100선 52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원효 
  • 출판사"두산동아" 
  • 출판일2010-04-20 
보유 5,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대승기신론소 권 1 1. 경전의 근본정신을 나타냄 2. 경전의 명칭을 해석함 3. 글에 따라 뜻을 나타냄 1 공경을 바침과 전체의 뜻을 밝힘 2 논의 바탕을 정립함 1 인연을 설명하는 부분인연분 2 뜻을 세운 부분입의분 3 해석하는 부분해석분 ① 바른 뜻을 나타냄 A. 먼저 뜻을 풀이함 a. 법장문을 해석함대승기신론소 권 2 가. 진여문 나. 생멸문 ㄱ. 널리 풀이함 - 마음의 생멸심생멸대승기신론소 권 3 - 생멸인연대승기신론소 권 4 - 생멸하는 모습 ㄴ. 훈습론 - 더러운 법의 훈습 - 깨끗한 법의 훈습대승기신론소 권 5 b. 뜻의 장애의 부분을 해석함 가. 본체와 형상, 두 가지 나. 위대한 작용 B. 진여문에 들어감 ② 삿된 집착에 대한 자유 A. 자아가 있다는 견해 B. 대상이 있다는 견해 ③ 도에 발심하여 나아가는 모습을 분별함 A. 믿음을 성취하여 발심하는 것 B. 행위하여 발심하는 것 C. 깨달아 발심하는 것대승기신론소 권 6 4 믿는 마음을 수행하는 부분수행심신분 ① 보시의 문, 계율의 문, 인욕의 문, 정진의 문 ② 지관의 문 5 수행의 이익을 권하는 부분권수이익분 3 총결하여 회향함

저자소개

법명이 원효이고, 설총의 아버지이다. 압량(押梁: 지금의 경산군)에서 태어나 648년 황룡사에서 승려가 되어 수도에 정진하였다. 재산을 기부하여 초개사를 세우고, 자기가 태어난 집터에 사라사를 세웠다. 661년 의상과 유학길을 떠나 당항성의 한 무덤에 이르러 잠이 들었는데, 잠결에 목이 말라 물을 마셨다. 날이 새어서 보니 그 물이 해골에 고인 물이었음을 알고, 사물 자체에는 정(淨)도 부정(不淨)도 없고 모든 것은 마음에 달려 있음을 대오(大悟)하고 그냥 돌아왔다. 그 후 분황사에서 독자적으로 통불교를 제창, 불교의 대중화에 힘썼다. 하루는 거리에 나가 노래한 것이 태종 무열왕에게 전해져 요석공주와 잠자리를 같이하게 되었고, 그 후 설총이 태어났다. 이 사실을 스스로 파계(破戒)로 단정하고, 승복을 벗었다. 그 뒤 무애가(無碍歌)를 지어 불러 군중 속에 퍼뜨리자, 불교가 민중 속으로 파고들었다. 또 당나라에서 들여온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을 왕과 고승들 앞에서 강론하여 존경을 받았다. 그 후 참선과 저술로 만년을 보내다가 70세에 혈사(穴寺)에서 입적하였다. 불교 사상의 융합과 실천에 힘쓴 정토교의 선구자이며, 한국의 불교 사상 큰 발자취를 남긴, 가장 위대한 고승의 한 사람으로 추앙되고 있다. 저서에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법화경종요(法華經宗要),화엄경소(華嚴經疏), 대열반경종요(大涅槃經宗要),해심밀경소(解深密經疏),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대승기신론별기(大乘起信論別記),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보살영락본업경소(菩薩瓔珞本業經疏),범강경보살(梵綱經菩薩),계본사기(戒本私記),보살계본지범요기(菩薩戒本持犯要記),중변분별론소(中邊分別論疏),판량비론(判量比論)등이 있다.

목차

대승기신론소 권 1 1. 경전의 근본정신을 나타냄 2. 경전의 명칭을 해석함 3. 글에 따라 뜻을 나타냄 1 공경을 바침과 전체의 뜻을 밝힘 2 논의 바탕을 정립함 1 인연을 설명하는 부분인연분 2 뜻을 세운 부분입의분 3 해석하는 부분해석분 ① 바른 뜻을 나타냄 A. 먼저 뜻을 풀이함 a. 법장문을 해석함대승기신론소 권 2 가. 진여문 나. 생멸문 ㄱ. 널리 풀이함 - 마음의 생멸심생멸대승기신론소 권 3 - 생멸인연대승기신론소 권 4 - 생멸하는 모습 ㄴ. 훈습론 - 더러운 법의 훈습 - 깨끗한 법의 훈습대승기신론소 권 5 b. 뜻의 장애의 부분을 해석함 가. 본체와 형상, 두 가지 나. 위대한 작용 B. 진여문에 들어감 ② 삿된 집착에 대한 자유 A. 자아가 있다는 견해 B. 대상이 있다는 견해 ③ 도에 발심하여 나아가는 모습을 분별함 A. 믿음을 성취하여 발심하는 것 B. 행위하여 발심하는 것 C. 깨달아 발심하는 것대승기신론소 권 6 4 믿는 마음을 수행하는 부분수행심신분 ① 보시의 문, 계율의 문, 인욕의 문, 정진의 문 ② 지관의 문 5 수행의 이익을 권하는 부분권수이익분 3 총결하여 회향함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