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여한십가문초 - 조선 시대 문장가 김택영의 제자 왕성순이 펴낸 고문선집 : 한국인이 꼭 읽어야 할 한국 고 (커버이미지)
우리전자책
여한십가문초 - 조선 시대 문장가 김택영의 제자 왕성순이 펴낸 고문선집 : 한국인이 꼭 읽어야 할 한국 고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왕성순 
  • 출판사"두산동아" 
  • 출판일2010-04-19 
보유 5,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해제解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서序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1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2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3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4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5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6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7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8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9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10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11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발跋중간 여한십가문초重刊麗韓十家文? 발跋

저자소개

조선 말기의 문장가 창강 김택영(1850-1927)의 제자인 왕성순은 그에게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여한구가문초》는 고려의 김부식· 이제현, 조선의 장유· 이식· 김창협· 박지원· 홍석주· 김매순· 이건창 즉, 고려와 조선의 9대 문장가를 선정, 그들의 문장 95편을 실은 스승 김택영의 작품이다. 스승의 명을 받아《여한구가문초》에 스승 김택영의 문장을 선별,《여한십가문초》라는 책으로 중국 양계초의 서문을 받아 1921년 중국의 남통에서 간행하였다. 또한 1915년에 간행한 여성교육을 표방하며 낸 단행본《규문궤범》이 있다.《규문궤범》은 3권 14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국한문을 혼용했으며, 철저하게 유교적 전통을 고수하고 있다. 여기서 왕성순은 여성에게 주어진 역할 중에서도 무엇보다 자녀 교육이 중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목차

《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해제解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서序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1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2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3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4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5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6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7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8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9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10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제11권여한십가문초麗韓十家文? 발跋중간 여한십가문초重刊麗韓十家文? 발跋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