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선가귀삼 - 불도 수행의 귀감이 되는 불교 개론서 : 한국인이 꼭 읽어야 할 한국 고전 및 사상 100선 69 (커버이미지)
우리전자책
선가귀삼 - 불도 수행의 귀감이 되는 불교 개론서 : 한국인이 꼭 읽어야 할 한국 고전 및 사상 100선 69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휴정 
  • 출판사"두산동아" 
  • 출판일2010-04-21 
보유 5,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일러두기제1장 선가귀감 선가귀감 서문 Ⅰ. 본분과 신훈 1-4 Ⅱ. 선교의 차별 5-11 Ⅲ. 화두의 참구 12-24 Ⅳ. 신해의 자세 25-36 Ⅴ. 수증의 방법 37-44 Ⅵ. 수행의 방편 45-55 Ⅶ. 출가의 정신 56-77 Ⅷ. 선종의 오가 78-101 Ⅸ. 무집착과 무분별 102-103 선가귀감 발문제2장 청허휴정과 그 선풍 1. 청허휴정의 행장 2. 청허휴정의 선교관 3. 청허휴정의 간화선 4. 청허휴정의 저술 5. 청허휴정의 선심시심

저자소개

호는 서산대사. 청허(淸虛) 성균관에서 글과 학문을 익혔고, 진사시에 낙방하자, 1534년 지리산에 입산하여, 숭인 문하에서 승려가 되었다. 그리고 《전등록(傳燈錄)》, 《화엄경(華嚴經)》, 《법화경(法華經)》 등을 배우고, 그 후 일선에게 구족계를 받고 영관의 법을 계승하였다. 1552년 과거의 승과에 급제하여 대선과 중덕을 거쳐 교종판사와 선종판사를 겸임했고, 보우를 이어 봉은사 주지가 되었다. 1556년 정여립의 역모에 연루되어 투옥되었다가 풀려났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73세의 나이로 왕명에 따라 팔도십육종도총섭이 되어 승병 1,500명을 모집하고, 명나라 군대와 함께 한양 수복에 공을 세웠다. 이 공로로 국일도대선사선교도총섭 부종수교보제등계존자가 되었으나, 1594년 유정에게 승병을 맡기고 묘향산 원적암에서 여생을 보냈다. 좌선견성을 중시하고, 교를 선의 한 과정으로 보아 선종에 교종을 일원화시켰다. 이때부터 조선 불교는 선종인 조계종으로 일원화되었다. 또한 한편 유교 ․ 불교 ․ 도교는 궁극적으로 일치한다고 주장하여, 삼교통합론의 기원을 이루어 놓았다. 저서로는 《선교석(禪敎釋)》, 《선교결(禪敎訣)》, 《운수단(雲水壇)》, 《삼가귀감(三家龜鑑)》, 《심법요(心法要)》, 《설선의(說禪儀)》 등이 있고, 문집 《청허당집(淸虛堂集)》 등이 있다.

목차

일러두기제1장 선가귀감 선가귀감 서문 Ⅰ. 본분과 신훈 1-4 Ⅱ. 선교의 차별 5-11 Ⅲ. 화두의 참구 12-24 Ⅳ. 신해의 자세 25-36 Ⅴ. 수증의 방법 37-44 Ⅵ. 수행의 방편 45-55 Ⅶ. 출가의 정신 56-77 Ⅷ. 선종의 오가 78-101 Ⅸ. 무집착과 무분별 102-103 선가귀감 발문제2장 청허휴정과 그 선풍 1. 청허휴정의 행장 2. 청허휴정의 선교관 3. 청허휴정의 간화선 4. 청허휴정의 저술 5. 청허휴정의 선심시심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