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양명학연론 - 국문학자 담원 정인보의 철학서 : 한국인이 꼭 읽어야 할 한국 고전 및 사상 100선 100 (커버이미지)
우리전자책
양명학연론 - 국문학자 담원 정인보의 철학서 : 한국인이 꼭 읽어야 할 한국 고전 및 사상 100선 100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정인보 
  • 출판사"두산동아" 
  • 출판일2010-04-21 
보유 5,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1. 글을 쓰게 된 까닭2. 양명학이란 무엇인가?3. 양명본전陽明本傳4. 대학문大學問ㆍ발본색원론拔本塞源論5. 양명문도陽明門徒와 그 이후에 등장한 양명학의 인물들6. 조선의 양명학파7. 후기

저자소개

한학자 · 역사학자, 양명학 연구의 대가. 자는 경업(經業), 호는 위당(爲堂) · 담원(薝園) · 미소산인(薇蘇山人)이다. 서울에서 출생했으며, 어려서부터 양명학을 수학하였다. 1913년에 홍명희, 신규식, 박은식, 신채호 등과 함께 중국 상하이에서 동제사(同濟社)를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귀국한 뒤, 연희전문학교에서 한문학과 조선 문학을 강의하며 저술 활동을 하였다. 동아일보 · 시대일보의 논설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1935년에는 정약용 서거 100주년을 계기로 조선학 운동을 주도하였고, 조선 후기 실학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8·15광복 후에 국학대학의 초대 학장을 지냈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에 초대 감찰 위원장을 지냈다. 그러나 임영신의 독직 사건을 두고 대통령 이승만과 갈등을 빚고 물러났다. 1950년 6·25전쟁 때 북한군에게 피랍되어가는 도중 묘향산 근처에서 죽었다고 전한다. 저서로는 《조선사연구》,《양명학연론》이 있다.

목차

1. 글을 쓰게 된 까닭2. 양명학이란 무엇인가?3. 양명본전陽明本傳4. 대학문大學問ㆍ발본색원론拔本塞源論5. 양명문도陽明門徒와 그 이후에 등장한 양명학의 인물들6. 조선의 양명학파7. 후기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