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머리말ㅣ제1부ㅣ경성, 모던보이와 기차 내가 살던 서울, 개울과 억새가 있던 곳_「짝사랑」 식민지시대의 종로, 엿장수와 한청빌딩 냉면 배달부_「자라메라」,「낙화유수호텔」 모던보이, 전화로 연애질을_「청춘삘딩」,「전화일기」,「미소의 코스」,「다방의 푸른 꿈」 서울 사람들의 유원지, 한강_「꽃서울」,「노들강변」 서울역, 거대한 쇳덩어리가 폼 나게 움직이는 곳_「유쾌한 시골 영감」,「경부철도가」,「눈물의 경부선」 서울의 바깥, 신도시와 시골들_「울산 큰애기」,「목포의 눈물」ㅣ제2부ㅣ 50~60년대, 럭키 서울을 욕망하다 해방과 전쟁속의 서울_「울어라 은방울」,「역마차」,「단장의 미아리고개」,「전우야 잘 자라」 서울에서 대한민국 아닌 곳을 꿈꾸다_「럭키 서울」,「서울 야곡」,「슈사인보이」,「미사의 종」,「아메리카 차이나타운」,「페르샤 왕자」,「위싱턴 블루스」 서울의 아가씨는 뉴요커만큼 즐겁다_「서울의 아가씨」,「꽃집 아가씨」,「내 사랑 쥬리안」 전차와 마차의 마지막 기억들_「마포종점」,「대머리총각」,「돌아가는 삼각지」 김포국제공항과 오팔팔의 그 엄청난 거리_「앵두나무 처녀」,「울산 큰애기」,「섬마을선생님」,「물레방아 도는데」,「먼 데서 오신 손님」,「공항의 이별」ㅣ제3부ㅣ 70년대, 장발이 헤매는 종로 거리 도시는 나의 터전_「우리들의 이야기」,「길가에 앉아서」,「파란 많은 세상」,「영화를 만나」 종로와 광화문, 분식센터와 단과반 학원_「그건 너」,「광화문 연가」 먹고 대학생? 고민하는 대학생!_「아침이슬」,「두리번거리다」,「쐬주」 도시인의 꿈, 전원과 전원주택_「욕심없는 마음」,「가난한 마음」,「비둘기집」,「화니의 하얀집」,「약속」ㅣ제4부ㅣ70~80년대, 서울의 그늘 불빛 찬란한 서울나라, 그것의 그늘_「고향 역」,「서울로 가는 길」,「식구 생각」,「님과 함께」 강변에서 바라보는 공장의 불빛_「공장의 불빛」,「귀례이야기」,「노동자의 생활」,「강변에서」 서울은 한강을 넘고_「제3한강교」,「신사동 그 사람」,「사랑의 거리」 우리에게 아파트란 무엇인가?_「아파트」 제2의 고향에서 기를 쓰고 살아가기_「제2의 고향」,「한여름 밤」,「그의 노래는」,「못생긴 얼굴」,「서울에서 살 거야」 강원도의 힘_「춘천가는 기차」,「북한강에서」,「GNP」,「한계령」ㅣ제5부ㅣ 강남과 강북, 밀레니엄 서울 압구정동, 적대감을 넘어_「칵테일 사랑」,「Rockn Roll + 압구정동,공주병」,「구리뱅뱅」,「비오는 압구정」,「강남 김세 이야기」,「강북에 산다」,「메리 크리스마스」,「압구정은 어디」 고향, 강북_「내 고향 삼선교」,「혜화동」,「우리가 세상에 길들기 시작한 후부터」 문명의 끝, 그곳을 향해_「1999」,「타락도시」,「더러운 도시」,「건너간다」짧은 뒷말사진출처
저자소개
이영미는 대중 예술 평론과 한국 대중 예술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작가이다. 그녀는 1961년 서울의 동대문 밖에서 태어나 죽 서울에서만 자란 서울내기이다. 어쩌다가 집에서 먼 ‘국민학교’를 다닌 덕분에 신설동에서 을지로 6가까지 서울 거리를 눈 감고도 오갈 수 있을 정도로 누비고 살았다고 한다. 그녀는 아기 때부터 텔레비전 앞을 떠날 줄 몰랐던 ‘텔레비전 키드’로, 방송극과 「쇼쇼쇼」 같은 오락 프로그램에 열중했던 ‘조기교육’으로 인해 지금의 전공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이야기한다. 고려대학교와 같은 대학원에서 국문학을 전공했으나 남들은 별로 관심 갖지 않는 연극이나 대중 예술에 관심을 가진 좀 별난 학생이었고, 1984년부터 본격적으로 평론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서른 즈음에 한국 대중 예술의 흐름과 대중성의 실체에 대한 궁금증이 자신의 화두임을 깨달았고, 대중 예술에 대한 연구를 본격화 남들이 잘 하지 않는 연구만 골라서 하면서 혼자 뛰면 늘 1등을 할 수 있다고 믿는 무모함으로, 오늘도 옛날 방송극 자료 더미에 묻혀 끙끙거리며 연구중이다. 저서로는 『민족예술운동의 역사와 이론』, 『노래 이야기주머니』, 『재미있는 연극 길라잡이』, 『서태지와 꽃다지』, 『마당극·리얼리즘·민족극』, 『이강백 희곡의 세계』, 『마당극 양식의 원리와 특성』, 『한국대중가요사』, 『흥남부두의 금순이는 어디로 갔을까』, 『광화문 연가』, 『한국인의 자화상, 드라마』 등이 있고, 『한국현대예술사대계』 전6권(시공사, 1999-2005)과 『남북한 공연예술의 대화 ─ 춘향전과 초기 교류 공연』을 기획·공동집필했다.
목차
머리말ㅣ제1부ㅣ경성, 모던보이와 기차 내가 살던 서울, 개울과 억새가 있던 곳_「짝사랑」 식민지시대의 종로, 엿장수와 한청빌딩 냉면 배달부_「자라메라」,「낙화유수호텔」 모던보이, 전화로 연애질을_「청춘삘딩」,「전화일기」,「미소의 코스」,「다방의 푸른 꿈」 서울 사람들의 유원지, 한강_「꽃서울」,「노들강변」 서울역, 거대한 쇳덩어리가 폼 나게 움직이는 곳_「유쾌한 시골 영감」,「경부철도가」,「눈물의 경부선」 서울의 바깥, 신도시와 시골들_「울산 큰애기」,「목포의 눈물」ㅣ제2부ㅣ 50~60년대, 럭키 서울을 욕망하다 해방과 전쟁속의 서울_「울어라 은방울」,「역마차」,「단장의 미아리고개」,「전우야 잘 자라」 서울에서 대한민국 아닌 곳을 꿈꾸다_「럭키 서울」,「서울 야곡」,「슈사인보이」,「미사의 종」,「아메리카 차이나타운」,「페르샤 왕자」,「위싱턴 블루스」 서울의 아가씨는 뉴요커만큼 즐겁다_「서울의 아가씨」,「꽃집 아가씨」,「내 사랑 쥬리안」 전차와 마차의 마지막 기억들_「마포종점」,「대머리총각」,「돌아가는 삼각지」 김포국제공항과 오팔팔의 그 엄청난 거리_「앵두나무 처녀」,「울산 큰애기」,「섬마을선생님」,「물레방아 도는데」,「먼 데서 오신 손님」,「공항의 이별」ㅣ제3부ㅣ 70년대, 장발이 헤매는 종로 거리 도시는 나의 터전_「우리들의 이야기」,「길가에 앉아서」,「파란 많은 세상」,「영화를 만나」 종로와 광화문, 분식센터와 단과반 학원_「그건 너」,「광화문 연가」 먹고 대학생? 고민하는 대학생!_「아침이슬」,「두리번거리다」,「쐬주」 도시인의 꿈, 전원과 전원주택_「욕심없는 마음」,「가난한 마음」,「비둘기집」,「화니의 하얀집」,「약속」ㅣ제4부ㅣ70~80년대, 서울의 그늘 불빛 찬란한 서울나라, 그것의 그늘_「고향 역」,「서울로 가는 길」,「식구 생각」,「님과 함께」 강변에서 바라보는 공장의 불빛_「공장의 불빛」,「귀례이야기」,「노동자의 생활」,「강변에서」 서울은 한강을 넘고_「제3한강교」,「신사동 그 사람」,「사랑의 거리」 우리에게 아파트란 무엇인가?_「아파트」 제2의 고향에서 기를 쓰고 살아가기_「제2의 고향」,「한여름 밤」,「그의 노래는」,「못생긴 얼굴」,「서울에서 살 거야」 강원도의 힘_「춘천가는 기차」,「북한강에서」,「GNP」,「한계령」ㅣ제5부ㅣ 강남과 강북, 밀레니엄 서울 압구정동, 적대감을 넘어_「칵테일 사랑」,「Rockn Roll + 압구정동,공주병」,「구리뱅뱅」,「비오는 압구정」,「강남 김세 이야기」,「강북에 산다」,「메리 크리스마스」,「압구정은 어디」 고향, 강북_「내 고향 삼선교」,「혜화동」,「우리가 세상에 길들기 시작한 후부터」 문명의 끝, 그곳을 향해_「1999」,「타락도시」,「더러운 도시」,「건너간다」짧은 뒷말사진출처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