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한국 고대사와 그 역적들 - 고조선 연구와 상식의 몰락 그리고 역사의 상실 (커버이미지)
우리전자책
한국 고대사와 그 역적들 - 고조선 연구와 상식의 몰락 그리고 역사의 상실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상태 
  • 출판사"책보세" 
  • 출판일2014-06-16 
보유 5,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여는 글서언제1장 고조선 연구 그리고 상식의 몰락제2장 고대사학계의 고조선 연구 그 개요와 비판제3장 표절 시비로 자행한 학살극제4장 경향신문과 이형구, 사회적 인식 수준과 재야사학계제5장 고조선의 심리학 그리고 한국 사회 부패의 근원제6장 윤내현, 어둠 속에 빛나는 상식의 빛닫는 글

저자소개

1964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서울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했다. 저술활동을 시작한 이후 다양한 분야에 걸쳐 대중적 글쓰기의 가능성을 추구하고 실험했다. 이는 대중이 전문가로부터 듣는 청취자나 학생으로서의 수동적 태도를 넘어 지적활동 전체에 걸친 대중의 개입과 전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활동을 진정한 민주사회와 복지사회의 마지막 과제이자 증거라고 생각한다. 나아가 이로 인해 전문가들의 지적활동도 더욱 생산적이고 올바르게 기능하리라 확신한다. 따라서 그의 글쓰기는 특정한 주제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중적 글쓰기란 어떤 상황, 어떤 분야를 막론하고 대중이 원하면 즉시 다루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그는, 어떤 주제에 대해서든 의미 있는 글을 쓸 수 있다는 사실을 현실적으로 입증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금껏 그래왔듯 그는 앞으로도 이 같은 일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지은 책으로는 《1990년대 한국 사회 섹스라는 기호를 다루는 사람들》(새물결, 1996), 《프리섹스주의자들에게》(이후, 1999), 《도올 김용옥 비판》(옛오늘, 2007), 《엉터리 사학자 가짜 고대사》(책보세, 2012), 《어린 왕자의 가면》(책보세, 2012) 등이 있다.

목차

여는 글서언제1장 고조선 연구 그리고 상식의 몰락제2장 고대사학계의 고조선 연구 그 개요와 비판제3장 표절 시비로 자행한 학살극제4장 경향신문과 이형구, 사회적 인식 수준과 재야사학계제5장 고조선의 심리학 그리고 한국 사회 부패의 근원제6장 윤내현, 어둠 속에 빛나는 상식의 빛닫는 글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