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한국 원형문화의 이해 - 한국의 문화원형이란 어떤 것인가? (커버이미지)
우리전자책
한국 원형문화의 이해 - 한국의 문화원형이란 어떤 것인가?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김영해 
  • 출판사일송북 
  • 출판일2018-04-27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01 베일에 가려진 한국 선사문화03 동북아 신석기 사회 속의 장묘예숙과 관련 문화05 굶주리지 않기 , 그리고 술 마시기 07 춤추기의 연원09 문질빈빈의 삶, 그것이 한국인의 정서였다11 우리 문화의 참된 고갱이를 고민한다13 한국사 속의 여성 위인 특론- 웅녀 를 말하다15 한국사 속의 여성 위인 특론- 허황옥 을 말하다17 새로운 소망 꿈꾸기와 이상 세계의 지향

저자소개

아름다운 항구 도시 부산에서 태어났습니다. 본래 발레가 전공인 그녀는 부드럽고 아름다운 곡선미가 살아 있는 한국 무용에 큰 관심을 기울였는데, 이 율동미의 이면에는 한국 원형 문화의 살아 있는 숨결이 내재하고 있음을 하나둘씩 고리처럼 알아 갔습니다. 김영해는 한국 무용 행위 속에 꿈틀대는 ‘경천 의식’과 ‘사귀 진압(邪鬼鎭壓)’의 강렬한 이미지에 매료되어, 삼지창을 든 무녀가 상고사의 창을 든 치우 형상과 일맥 상통하는 데에 무게를 두고 오랜 기간 무속 세계를 탐험하는 과정도 거쳤습니다. 이러한 김영해의 탐구심에는 한국 원형 문화가 나누어진 독립 문화가 아니라 모두 연관성이 있는 학문으로까지의 범위로 점차 확대되어 갔습니다. 춤에는 소리와 가락이 있음을 알았고, 이러한 원형 문화의 주인공인 여성성의 연원과 한국 여성 문화의 뿌리까지 연구하는 계기가 계속적으로 깊게 이루어져 왔습니다. 이런 저자 김영해의 이력은 좀 독특합니다. 무용을 전공한 그녀가 컴퓨터와 관련한 건실한 중소기업들을 꾸려 나간 사업가라는 점도 놀라운 일이지만, 한국 원형 문화의 뿌리를 찾고 그 과정을 챙기는 방대한 자료 모으기에는 남다른 열정 그 자체였습니다. 저자 김영해가 이 땅의 팔도를 뒤지며 원형 문화를 찾는 노력은 몇 권의 책이 될 정도의 분량이 되었고, 많은 연구 서적을 읽는 가운데 버무려진 통찰력은 이제 원형에 대한 그녀만의 시각을 조심스럽게 개진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렀습니다. 특히 명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에서 한국 원형 문화에 관련한 과목들을 강의하면서 그녀는 더 많은 연구와 통찰의 기회를 가졌고, 그 강의안과 자료들을 (사)한국역사문화컨텐츠의 검증과 보완, 감수를 거쳐 세상에 내어놓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목차

01 베일에 가려진 한국 선사문화03 동북아 신석기 사회 속의 장묘예숙과 관련 문화05 굶주리지 않기 , 그리고 술 마시기 07 춤추기의 연원09 문질빈빈의 삶, 그것이 한국인의 정서였다11 우리 문화의 참된 고갱이를 고민한다13 한국사 속의 여성 위인 특론- 웅녀 를 말하다15 한국사 속의 여성 위인 특론- 허황옥 을 말하다17 새로운 소망 꿈꾸기와 이상 세계의 지향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