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역사로 읽는 이순신 - 이 시대 꼭 읽어야할 서사시 (커버이미지)
우리전자책
역사로 읽는 이순신 - 이 시대 꼭 읽어야할 서사시
  • 평점평점점평가없음
  • 저자신채호 
  • 출판사온이퍼브 
  • 출판일2013-05-03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머리말신채호는제1장 서론제2장 이순신이 어렸을 때와 소시적의 일제3장 이순신의 출신과 그 후에 곤란제4장 오랑캐를 막던 조그만 싸움과 조정에서 인재를 구함제5장 이순신이 전쟁을 준비제6장 부산 바다로 구원하려 간일제7장 이순신이 옥포에서 첫 번 싸움제8장 이순신의 제2전 당포(唐浦)제9장 이순신의 제3전 견내량(見乃梁)제10장 이순신의 제4전 부산(釜山)제11장 제5전 후에 이순신제12장 이순신의 구나(拘拿)제13장 이순신의 옥에 들어갔다가 나오던 동안 집과 나라의 비참한 운수제14장 이순신의 통제사 재임과 명량(鳴梁)에서 대 승첩제15장 왜적의 말로제16장 진린(陳璘)의 중도의 변함과 노량의 대전제17장 이순신의 반구와 그 유한제18장 이순신의 제장(諸將)과 그 유적과 그 기담(奇談)제19장 결론

저자소개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사학자. 1880년 12월 8일 충청남도에서 태어나, 1897년 성균관에 들어가 1905년 성균관 박사가 되었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황성신문》에 논설을 쓰기 시작했고,《대한매일신보》의 주필로 활약했다. 1907년에는 신민회와 국채보상운동 등에 참가했다. 1910년 4월 중국 칭다오로 망명, 그곳에서 안창호, 이갑 등과 독립운동 방안을 협의했다. 그리고 블라디보스토크로 건너가 《권업신문》에서 활동했고, 1914년 이 신문이 강제 폐간되자, 남북 만주와 백두산 등 한국 민족의 고대 활동 무대를 답사했다. 1915년 상하이로 가서 신한청년회 조직에 참가하고, 박달학원의 설립과 운영에도 힘썼다. 1919년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가, 의정원 의원, 전원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으나, 한성임정 정통론과 이승만 배척운동을 내세워 사퇴하였다. 그 후 비밀결사 대동청년단 단장, 신대한청년동맹 부단주 등을 지냈다. 1923년 임시정부 창조파의 주동 역할을 하다가, 다시 베이징으로 쫓겨가 다물단을 조직했으며, 중국과 본국의 신문에 논설과 역사논문을 발표하였다. 1928년 일경에게 체포되어 대련 감옥에 수감되었고, 1936년 옥사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저서로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 《조선사연구초》, 《조선사론》, 《이탈리아 건국삼걸전》, 《을지문덕전》, 《이순신전》, 《동국거걸최도통전》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신채호는제1장 서론제2장 이순신이 어렸을 때와 소시적의 일제3장 이순신의 출신과 그 후에 곤란제4장 오랑캐를 막던 조그만 싸움과 조정에서 인재를 구함제5장 이순신이 전쟁을 준비제6장 부산 바다로 구원하려 간일제7장 이순신이 옥포에서 첫 번 싸움제8장 이순신의 제2전 당포(唐浦)제9장 이순신의 제3전 견내량(見乃梁)제10장 이순신의 제4전 부산(釜山)제11장 제5전 후에 이순신제12장 이순신의 구나(拘拿)제13장 이순신의 옥에 들어갔다가 나오던 동안 집과 나라의 비참한 운수제14장 이순신의 통제사 재임과 명량(鳴梁)에서 대 승첩제15장 왜적의 말로제16장 진린(陳璘)의 중도의 변함과 노량의 대전제17장 이순신의 반구와 그 유한제18장 이순신의 제장(諸將)과 그 유적과 그 기담(奇談)제19장 결론

한줄 서평